세계일보

검색

[사설] 결국 조태용도 ‘尹 격노’ 인정, 사람에 충성한 공직자들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5-07-30 22:43:20 수정 : 2025-07-30 22:43:1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뉴스1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이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한 ‘VIP 격노설’을 인정했다. 피의자 신분의 조 전 원장은 해병 특검(특별검사 이명현) 조사에서 국가안보실장이던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비서관회의에서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자로 적시한 해병대 수사단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하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돌연 화를 냈다는 것을 시인했다. 조 전 원장은 2023년 8월 국회에서 해당 회의에서 채 상병 사건 관련 보고 자체가 없었고, 윤 전 대통령의 격노도 없었다고 했던 주장을 2년 만에 바꾼 것이다. 40여년간 외교관, 국회의원, 국정원장 등 공직의 길을 걸어온 조 전 원장도 손바닥으로 하늘을 감추려는 진실 은폐 기도에 가담했다니 안타깝다.

 

VIP 격노설을 인정한 공직자는 회의에 참석한 조 전 원장, 김태효(전 국가안보실 1차장), 이충면(전 외교비서관), 왕윤종(전 경제안보비서관), 임 전 비서관 5인과 김계환(전 해병대 사령관)을 포함해 6명이다. 수사 결과에 대해 화를 낸 적이 없다고 한 윤 전 대통령의 주장이 당시 고위 공직자 진술로 정면 반박되고 있는 셈이다. 윤 전 대통령은 언제까지 거짓말을 반복하며 국민을 우롱할 것인가.

 

VIP 격노설은 임 전 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 외압 의혹의 출발점이자 채 상병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핵심 쟁점이다. 조 전 원장이나 김 전 차장 등이 그동안 국민의 대표가 모인 국회에서 VIP 격노설을 부인하고 진상 규명을 방해한 죄가 결코 가볍지 않다. 특검은 법이 정한 처벌을 받을 수 있도록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 관련 고위 공직자들의 처신은 이들이 결국 국가와 국민이 아닌 대통령 윤석열이라는 한 개인, 사람에게만 충성했음을 보여주는 우리 공직사회의 씁쓸한 자화상이기도 하다. 공직자들은 공복(公僕)으로서 의무가 무엇인지 자성하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윤 전 대통령은 어제 아내 김건희씨의 국민의힘 공천 개입 의혹 등을 수사 중인 김건희 특검(특별검사 민중기)의 소환조사에 또 불응해 체포영장이 청구됐다.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특검(특별검사 조은석) 조사나 내란 재판도 불출석으로 일관하며 우리 사법 체계를 짓뭉개고 있다. 대체 언제까지 구차하게 책임을 회피할 것인가. 전직 대통령답게 결자해지의 자세로 수사와 재판에 성실히 응해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