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부동산 투자 대안 떠오른 토큰증권… 블루오션 되나

입력 : 2025-07-16 20:00:00 수정 : 2025-07-17 00:37:54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새정부 들어 법제화 논의 활발

“부동산 쏠린 자금, 자본시장으로 옮겨야”
李정부 기조에 매력적 대체 투자처 부상
건물·아파트 등 우량 실물자산 조각 투자
대출 부담 줄고 자기 자본만큼 증권 보유
명화·유망 스타트업 등 상품 개발 무한대
이르면 8월 관련 법안 국회 통과 가능성
금융업계 “미래 먹거리 기대” 준비 잰걸음

‘서울 강남의 수백억원 빌딩에 나도 투자해 볼 수 있을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자본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토큰증권(STO)은 이런 물음에서 시작했다. 실물자산이나 금융자산을 디지털 토큰화한 뒤, 증권으로 거래하는 STO는 ‘작게 쪼개’ 투자하는 방법으로 불가능한 투자를 가능한 투자로 바꿀 수 있다. 투자자는 투자의 기회를, 금융기업은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STO는 함께 ‘디지털 자산 3대장’으로 꼽히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와 비교해 입법과 제도화 측면에서 가장 앞서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최근엔 부동산에 쏠린 자본을 주식 등 자본시장으로 옮기는 데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8월 관련 법안 통과 및 제도권 진입이 예상된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일 국무회의에서 “부동산에 치우쳐 있는 투자를 주식시장으로 옮겨야 한다”고 강조한 이후 STO가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대통령의 첫 번째 정책 목표인 자금의 부동산 쏠림 해소를 실현하려면, 부동산에 버금가는 매력적인 대체 투자처를 제도권 금융 안에서 제공해야 하는데 전체 부동산 자산(1경6841조원)에 비해 주식 및 채권 등 자본시장(4900조원) 규모가 작아 부동산 투자자들의 인식 전환을 이끌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업계 안팎에선 부동산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건물 및 토지, 고가의 아파트 등 우량 실물자산을 STO를 통해 쪼개 투자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STO를 활용하면 지금까지 부동산에 투자하면서 대출 등 위험부담을 안았던 투자자들은 자신이 가진 자본만큼 증권 형태로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다. 금융기업은 유명 작가의 미술작품, 성장성 높은 스타트업 지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프로젝트나 콘텐츠 지식재산권(IP) 등 비정형 자산까지 무한대로 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

주식시장 활성화와 디지털 자산 허브 구축이라는 이재명정부의 두 전략이 증권이자 디지털자산인 STO에서 교차한다는 점도 높게 평가 받으면서 업계에선 이르면 8월 관련 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현재 국회에는 여야 의원 5인이 발의한 STO 관련 법안 5건이 계류 중이다. 더불어민주당 민병덕·조승래·강준현 의원, 국민의힘 김재섭·김상훈 의원이 각각 대표 발의한 이 법안들은 시장 육성과 투자자 보호라는 양대 축을 중심으로 입법 골격을 구성하고 있다.

국회와 정부가 STO 제도화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면서 금융당국과 기업들도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현재 금융위원회는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토큰증권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고, 한국거래소 역시 거래 시스템 구축을 검토하고 있다. 하나증권은 바이셀스탠다드와 STO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미래에셋증권,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이 각각 차별화된 STO 전략을 추진 중이다.

STO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시티그룹은 2030년 전 세계 토큰증권 시장 규모를 6700조원으로, 보스턴컨설팅그룹은 국내 시장을 367조원 규모로 예측했다.

업계에선 이미 글로벌 STO 시장을 두고 국가 간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더 이상 늦어졌다간 국내 시장 주도권마저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하다. 미국은 블록체인 인프라를 기반으로 전 세계 토큰증권 거래소 63곳 중 15곳을 운영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일본은 2020년 금융상품거래법 개정으로 정식 제도화를 완료한 후 지난해 발행 규모가 2조원을 돌파했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 토큰증권협의회 신범준 회장(바이셀스탠다드 대표)은 “디지털자산 중 STO는 이미 제도화의 토대가 단단히 마련돼 있고 정책 방향과 수단이 모두 명확해진 만큼, 이제는 속도전”이라며 “STO 제도화가 곧 한국 디지털 금융의 미래를 결정할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