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 가림막 높이는 1.5m 불과
장난감 투척 등 위협에 무방비
대전도시공사가 운영하는 대전오월드의 열악한 펭귄 사육 환경이 입도마에 오르고 있다. 생명 고유성을 외면한 채 종별 구분 없는 합사를 하는가 하면 전시 목적으로 개체 번식을 진행하는 등 이윤 극대화에만 매몰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15일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대전오월드 펭귄사(舍)엔 자카스펭귄 1마리와 훔볼트펭귄 11마리 등 12마리가 한 공간에 방사돼 있다. 자카스펭귄과 훔볼트펭귄은 각각 남아프리카공화국 해안과 남아메리카 칠레·페루 등 해안에 살아 서식지 기후환경과 먹이 등이 다르지만 공간 협소로 인해 ‘밀어넣기식 전시’가 이뤄지고 있다는 게 녹색연합의 주장이다. 두 개체가 함께 있는데도 안내판에는 훔볼트펭귄만 있는 등 정보제공은 부실했고, 생태적 특성과 정보를 알려주는 생태설명회는 4분 만에 끝나는 ‘먹이 주기 이벤트’로 전락했다.
현장관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펭귄사는 관람객이 바로 옆까지 접근할 수 있는 구조이지만 보호 구조물은 성인 가슴 높이까지 오는 1.5m 높이의 유리 가림막뿐이다. 녹색연합은 “펭귄을 쫓아다니며 유리창을 두드리고 소리를 지르는 관람객과 장난감을 던지려는 관람객이 있었다”고 우려했다. 오월드 관계자는 “펭귄은 무리생활하는 개체인데 자카스펭귄 1마리가 노령이어서 건강 등을 검토해 합사를 시킨 것”이라며 “훔볼트펭귄 무리와 잘 어울리고 있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