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 회원국들이 대미 관세협상 기한 종료를 앞두고 무역수장에게 강경한 입장을 취하도록 주문했다.

1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EU 회원국 대사들은 이날 열린 비공개회의에서 곧 방미하는 마로시 셰프초비치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에게 어떤 형태의 합의든 오는 9일부터 현재 부과 중인 10% 기본관세 감축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대사들은 특정 산업 부문에 적용되는 고율관세 인하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셰프초비치 집행위원은 미국에서 3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날 예정이다. 사실상 협상 시한 종료 전 마지막 대면협상 자리로, 양측은 미국 측이 제시한 2페이지 분량의 ‘원칙적 합의’를 중점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기한인 9일 전까지 합의가 타결되지 않으면 EU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은 50%로 올라갈 수 있다.
하지만 EU 내부 입장차로 협상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독일은 불충분하더라도 일단 신속한 합의를 체결하자는 반면, 프랑스는 10% 기본관세 유지 등 불균형한 조건은 수용해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복수의 EU 당국자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EU와의 합의가 영국 사례처럼 단계적 합의 형태가 될 것이라고 암시해왔다.
전문가들은 영국과의 합의, 대중국 무역분쟁 일시 휴전 등으로 자신감을 얻은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경제주체들과의 협상에서 더욱 강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법무법인 사이들리 오스틴의 테드 머피 국제무역 전문 변호사는 “EU는 이것을 일반적인 무역협상처럼 접근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치명적인 실수”라며 “미국 입장에서는 상대국의 ‘항복 조건’을 협상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