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프레임워크’ 단계 협상국 다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재 의회에서 여당인 공화당 주도로 입법이 진행되고 있는 감세 법안이 통과된 직후 국가별 상호관세를 설정할 예정이라고 백악관 관계자가 밝혔다. 공화당은 7월4일 미국 독립기념일까지 관세율 인상을 목표로 하고 있어 이후 본격적으로 작업이 진행될 전망이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8일 관세 협상 시한 이후 관세율이 인상되냐는 취지의 질문에 “(의회 계류 중인) 세금 법안이 통과되자마자 오벌 오피스(대통령 집무실)에서 마라톤 회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며 “우리는 대통령과 (무역 상대국을) 하나씩 검토할 것이고, 최종 결정을 내려 관세율을 설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싯 위원장의 언급은 공화당의 목표대로 미 독립기념일인 4일까지 감세 법안이 통과된 뒤 그간의 무역 협상 경과에 맞춰 각 국가별 상호관세를 재설정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상호관세 유예 기간 연장에 부정적으로 반응해왔으며 유예기간 종료 전 관세율이 명시된 서한을 각 국가에 보내겠다고 밝혔다.
해싯 위원장은 인터뷰에서 현재까지의 협상 성과에 대해 “우리는 수많은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영국과 했던 것처럼 곧바로 합의될 프레임워크들”이라고 설명했다. 프레임워크는 무역 협상 진행 과정에서 최종 협정 서명 전에 주요 원칙을 담아 만드는 ‘협정 틀’을 지칭한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우리와 신의성실하게 협상하는 국가들이 있지만 그들의 저항 때문에 결승선을 넘기 못하면 4월2일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무역협상 상대국을 압박했다. 4월2일은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했던 날로 고율의 관세가 매겨질 수 있음을 경고한 것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