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데이터의 핵심 정보만을 추출해 전달하는 차세대 통신기술인 ‘시맨틱 통신’ 실증을 통해 서비스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시맨틱 통신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데이터가 가진 ‘의미(Semantic)’나 ‘맥락(Context)’을 이해하고, 핵심 정보만을 추출해 전달하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기존 통신은 데이터의 모든 요소를 전달하는 방식이었다. 반면 시맨틱 통신은 AI가 통신 과정에서 주고받는 데이터의 의미를 이해해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KT는 지난해 10월부터 영상·음성 통신 분야에 대해 시맨틱 기술 내부 실증을 진행한 결과 기존보다 현저히 낮은 데이터 전송량으로도 체감 품질 저하 없이 원본의 의미를 전달하는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통신업계에서는 시맨틱 통신이 6G(6세대 이동통신) 핵심인 AI 내재화(AI를 네트워크 구조에 본질적으로 통합한 차세대 통신 인프라)를 실현하고, 완전 자율주행과 로봇 원격 제어, 실감형 홀로그램 통신 등 미래 서비스를 가능케 할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맨틱 통신이 상용화되면 네트워크 혼잡 구간이나 대역이 제한된 위성 통신에서도 고품질 미디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KT는 자체 연구뿐 아니라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가속화하기 위해 세계적인 통신 기술 연구기관인 노키아 벨 연구소와 손을 잡았다. 양사는 올해 초 6G 시맨틱 통신 기술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5월에는 미국 벨 연구소 본사에서 ‘6G & 시맨틱 통신 기술 워크샵’을 개최했다.
KT와 노키아 벨 연구소는 이번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시맨틱 전송 알고리즘 개발 △엔드 투 엔드(단말간 통신 시험) 성능 검증 및 실증 등을 수행한다.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전무)은 “통신 기술의 미래는 AI와의 융합에 있으며, 시맨틱 통신은 AI가 통신 기술과 결합해 네트워크의 근본적인 역할을 재정의할 혁신적인 기술”이라며, “KT는 자체 연구 역량 강화와 더불어 벨 연구소와 같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파트너와 적극 협력하여, 다가올 6G 시대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AICT 컴퍼니로서 고객 가치를 지속적으로 혁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