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식물’로 불리는 자이언트 하귀드(Giant Hogweed·큰멧돼지풀)이 일본에서 신고돼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자이언트 하귀드가 확인되면 일본에서 처음이다.

30일 일본 아사히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자이언트 하귀드는 일본 삿포로 홋카이도대 캠퍼스에 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홋카이도대는 최근 홈페이지를 통해 “캠퍼스 내에서 자이언트 하귀드로 보이는 식물이 확인돼 전문가들이 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위험 예방을 위해 해당 구역 출입을 제한한다”고 밝혔다.
홋카이도대 캠퍼스가 삿포로역에서 가까운 곳에 있고 근처에 보육원도 있어 학내를 산책하는 주민이 많아 내려진 조치라고 아사히신문은 전했다.
또 다른 현지 언론은 자이언트 하귀드가 홋카이도대 자리 잡은 건 수년 전으로, 약 10그루 이상 자라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환경 당국은 해당 구역의 높이 3m에 달하는 식물의 꽃과 잎을 모두 제거했다.
일본 환경당국은 “관상용으로 재배되던 것이 야외로 번졌거나, 씨앗 등이 무언가에 붙어 비의도적으로 외부로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며 “해외에서는 주택가에서도 발견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이언트 하귀드는 미나릿과에 속하는 외래종 유해 식물이다. 학명은 ‘만테가지아눔어수리’다. 캅카스 산맥 서쪽, 흑해에 가까운 지역에 자생하며 유럽·미국·캐나다에도 퍼진 독초다. 보통 2~5.5m까지 자라고, 늦봄부터 여름 사이 우산 모양의 흰 꽃을 피운다. 한 번 씨앗을 맺으면 2만개, 많게는 10만개까지도 나오지만, 무사히 싹을 틔우는 비율은 5% 이하에 불과하다.

문제는 줄기, 잎, 꽃, 씨앗, 뿌리 등에서 분비되는 수액에 ‘퓨라노쿠머린’이란 성분이 있다는 점이다. 퓨라노쿠머린는 빛에 반응하는 광독성 물질로, 수액이 피부에 닿으면 햇빛과 반응해 물집과 발진, 부기, 화상 등을 유발한다. 심한 흉터가 남을 수도 있다. 눈에 들어갈 경우 일시적으로 실명까지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에선 1981년 법적으로 재배를 금지했다. 미국은 독성 잡초로 지정해 관리한다.
자라는 데 수분이 굉장히 많이 필요하지만, 건조하지만 않다면 어디서든 자란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아직 발견이 보고된 바 없다. 한국은 겨울이 건조해 버티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전문가들은 일부 지역에서 자랄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에서는 약 10년 전 ‘자이언트 하귀드 괴담’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번진 적이 있다. 자이언트 하귀드에 닿았다 수포가 잡혔고, 한국에서 기하급수적으로 자라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이에 국립수목원이 자료를 내고 “국립수목원에서는 외래식물에 대한 분포조사를 지속해서 수행하고 있으나 아직 자이언트 하귀드의 국내 분포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공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