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시간 중 실제 조사 5시간 그쳐
조사자 교체 싸고 갈등에 공전만
2차 소환, 30일서 7월 1일로 변경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의 ‘정점’인 윤석열 전 대통령이 28일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첫 조사를 받았다. 윤 전 대통령은 약 15시간 만에 귀가했지만 조사 주체 등을 놓고 갈등을 빚은 탓에 실제 조사 시간은 5시간여에 불과했다. 내란 특검은 애초 30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조사를 하려 했으나, 윤 전 대통령 측이 출석일 조정을 요청하자 하루 늦춘 다음달 1일로 변경했다.
박지영 내란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 귀가 직후인 29일 새벽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 조사는 (28일 오후) 9시50분쯤 종료됐고 조서 열람을 3시간에 걸쳐 했다”며 “30일 오전 9시에 다시 출석하라는 통지를 서면으로 전달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이날 특검에 “피의자의 건강과 현재 진행 중인 재판의 방어권 보장을 고려할 때 매우 촉박한 일정”이라며 출석기일을 7월3일 이후로 변경해달라고 요청하는 서면을 제출했다. 이에 박 특검보는 “제반 사정을 고려해 7월1일 오전 9시에 출석을 통지했다”고 공지했다.
특검과 윤 전 대통령 측은 첫 조사 전부터 공개 출석 여부 등을 놓고 기싸움을 벌였다. 윤 전 대통령은 결국 서울고검 앞 포토라인을 지나 공개 출석했다. 전날 오전 10시14분 시작된 조사에서는 특검이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을 청구할 때 기재한 체포 방해 혐의 관련 신문부터 진행됐다. 윤 전 대통령은 진술거부권을 행사하지 않고 질문에 적극적으로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순조로워 보였던 조사는 점심식사 후 한동안 중단됐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사자로 나선 박창환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총경)의 자격을 문제 삼으면서 교체를 요구했으나, 특검은 이를 거부했다. 이후 특검은 계획을 틀어 부장검사들을 투입해 비상계엄 전후 국무회의 의결 과정과 국회의 계엄해제안 의결 방해 및 외환 혐의 관련 신문을 진행했다.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의 법률대리인단이) ‘가해자가 피해자를 조사한다’는 식의 사실과 다른 주장을 유포하고, 수사주체의 권한 유무를 언급하며 또다른 논쟁거리를 유발시키면서 국민들을 현혹하고 있다”면서 수사에 착수하겠다는 입장도 공식화했다. 그는 “경찰청에 수사 방해 사건을 전담할 경찰관 3명 파견을 요청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