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규슈 가고시마현에서 잇따라 소규모 지진이 발생하면서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대지진 징조라는 소문이 확산하고 있다. 대지진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언설이 일파만파 번지면서 일본을 찾으려던 관광객들의 여행 취소도 잇따르고 있다.

29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도카라 열도에서는 이달 21일부터 전날 오후 6시까지 진도 1이 넘는 지진이 525회 관측됐다.
일본 기상청 지진 등급인 진도는 1이 흔들림이 가장 약하고 7이 가장 강하다.
도카라 열도에서는 이날도 40회 넘는 지진이 일어났다. 최대 규모는 4.7이었다. 이 지진으로 일부 지역에서 대부분의 사람이 놀라는 진도 4의 흔들림이 감지됐다.
도카라 열도에서는 2021년 12월과 2023년 9월에도 각각 300회가 넘는 소규모 지진이 연이어 발생한 바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도카라 열도 주변은 필리핀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들어가는 류큐 해구와 가깝다”며 “또 화산섬과 해저 화산도 많아 지각 움직임이 심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도카라 열도에서 작은 지진들이 빈발하는 군발지진이 발생하자 SNS에서는 이른바 '도카라의 법칙'이라는 속설이 회자했다. 이 법칙은 도카라 열도 근해에서 지진이 연이어 발생하면 이후 다른 장소에서 대지진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다.

요코세 히사요시 구마모토대 교수는 “이번 지진은 모두 소규모”라며 “이 정도 지진이 거대 지진을 유발한다고는 생각하기 힘들다”고 마이니치신문에 말했다.
나카지마 준이치 도쿄과학대 교수도 “일본은 지진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군발지진이 있는 동안 다른 장소에서 지진이 일어나는 것이 드물지 않다”며 “과학적으로 도카라 지진과 거대 지진이 관계돼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닛케이에 밝혔다.
‘전설의 심해어’로 불리는 돗돔이 부산 해역에서 잇따라 잡힌 것도 대지진에 대한 불안감을 키웠다. 지난 23일 부산 인근 대한해협에서 길이 1.7m에 달하는 대형 돗돔이 모습을 드러냈다. 올해만 벌써 다섯 번째 포획 사례다. 돗돔은 수심 400~500m 심해에 서식하기 때문에 어민과 낚시객 사이에선 ‘용왕의 허락을 받아야 잡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돗돔의 출몰을 ‘7월 일본 대지진설’의 징조로 해석하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7월 일본에서 대지진이 일어날 것이라는 예언설이 온라인을 중심으로 확산하면서 일본을 찾으려던 관광객들이 여행을 취소하고 있다.
지난 26일 일본 이시카와현 지역신문인 호코쿠신문은 “7월에 일본에 큰 재해가 발생할 것이라는 괴담이 퍼지면서, 이시카와현 내 관광 및 숙박업계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며 “대만에서의 단체 여행 예약이 취소됐다”는 한 호텔의 사연을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가나자와시에 있는 ANA 크라운 플라자 호텔 관계자는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대만 여행사로부터 예약된 7월 2일에서 5일까지의 모든 예약이 전부 취소됐다”며 “이른바 예언일이 지난 6일과 8일에는 정상적으로 예약돼 있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