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피해 보상·직원 고용 안정 과제로 남아
광주 대형 사업장 가운데 한 곳인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발생한 큰불이 사흘 만에 진화됐다.
소방 당국은 20일 오전 11시 50분을 기해 이번 화재 진압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17일 오전 7시 11분 발생 이후 76시간 39분(사흘 4시간 39분) 만이다.

소방 당국은 화재 이틀째인 지난 18일 오후 2시 50분께 주불을 잡았으나, 각종 가연성 물질이 뭉친 200여 개의 불덩어리 탓에 잔불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때 국가소방동원령까지 격상됐던 진화가 종료되면서 후속 대책 지휘권은 담당 지방자치단체장인 광주 광산구청장에게 이양됐다.
이날 오전 10시를 기준으로 광산구에 접수된 화재 현장 인근 주민의 피해는 1천236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두통과 구토, 어지럼증 등 인적 피해는 603(48.8%)건에 달했다.
소방은 재발화 저지, 후속 사고 예방 등 현장 역할을 안전 관리로 전환했다.
직접적 인명 피해는 모두 3명 발생했다.
20대 남성인 금호타이어 직원 1명이 대피 과정에서 골절상을 당해 한때 건물 안에 고립된 뒤 구조됐고, 진화에 나선 소방대원 2명이 화상 등 부상을 당했다.
설비는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내 2개 구획 가운데 서쪽 공장(2공장)의 50∼65%가 불에 탔다.
2공장은 원재료인 생고무와 화학약품을 혼합하는 정련, 타이어 주요 구성품을 가공하는 반제품, 반제품을 타이어의 형태로 만드는 성형 등 핵심 공정을 담당한다.
복구에는 최소 수개월이 소요될 전망이다.
광주시와 광주시의회는 피해 주민의 보상과 근로자들의 고용 안정 등을 위한 특별재난·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정부에 요청했다.
지난 17일 오전 7시 11분께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2공장 내 정련 공정에서 시작된 이번 화재는 산업용 전기 오븐에서 발생한 불꽃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잠정 파악됐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