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남은 상반기까지 전국 분양시장에서 공급이 예정된 1000가구 이상 대단지가 18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초 주춤했던 분양시장이 점차 기지개를 켜는 상황에서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대단지 아파트를 향한 관심이 커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16일 부동산인포 조사에 따르면 5∼6월 전국에서 1000가구 이상 대단지로 18개, 총 1만7452가구(14일 기준 1순위 청약 진행 완료 단지 및 임대 아파트 제외)가 일반분양될 예정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의 분양예정 물량이 13개 단지, 1만792가구로 가장 많다. 지방 광역시 중에서는 부산이 유일하게 2개 단지, 총 3440가구를 분양하며, 그 외 지방은 충청권에 물량이 집중돼 있다. 충청권에서는 3개 단지, 3220가구가 일반분양될 예정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1000가구가 넘는 대단지는 주거 환경과 환금성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며 분양시장의 ‘스테디셀러’로 꼽힌다”면서 “특히 대단지일수록 집값 상승 폭이 더 큰 경향이 짙어지면서 ‘똘똘한 한 채’ 선호와 맞물려 (대단지로의) 청약 쏠림은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1500가구 이상 대단지의 가격은 전년 대비 8.87%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어 1000가구 이상 대단지 가격 상승률이 5.11%를 기록했다. 부동산인포는 “같은 기간 300가구 미만의 소규모 단지가 2.44%대 상승률을 보인 것과 비교된다”고 짚었다.
대단지일수록 가격 상승률이 높은 현상은 수도권에서 더욱 짙게 나타나는 모습이다. 수도권 1500가구 이상 대단지는 10.37% 상승했고, 1000가구 이상 대단지도 7.8%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300가구 미만 단지는 3%대의 상승률을 보였다.
대단지 물량이 속속 분양시장에 나오는 건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공급 일정을 연기해 온 건설사들이 차츰 공급을 재개하는 분위기가 형성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올해 초까지는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 침체와 더불어 지난해 말 ‘12·3 비상계엄’ 사태에 이은 대통령 탄핵 정국 등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자 건설업체들이 분양 시기를 미루는 눈치 보기 장세가 짙었다. 최근 대선 일정이 확정되면서 더는 분양 일정을 미룰 수 없는 단지를 중심으로 분양을 재개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이달 분양시장에선 월말로 갈수록 대선이라는 초대형 이벤트로 모든 관심이 쏠려 홍보 효과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 만큼 6월 이후로 일정을 연기하는 단지들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