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선포한 12·3 불법계엄에 대해 처음으로 사과했다.
김 후보는 12일 채널A 뉴스에 출연해 자신이 내정한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불법계엄과 관련해 사과를 한 것을 두고 ‘김 후보도 사과할 의향이 있느냐’는 진행자의 질문에 “계엄을 한 부분에 대해서 국민들이 굉장히 어려워한다”며 “이 부분은 국민들에게 진심으로, 계엄으로 인한 고통을 겪고 있는 국민들에게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불법계엄 자체에 찬성하지 않는다는 입장도 재차 밝혔다. 그는 “:비상계엄 (국무회의에도) 참석하지 않았지만, 저는 만약 갔더라도 찬성을 안 했을 것”이라며 “비상계엄이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한 번도 찬성한 적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제가 대통령이 된다면 비상계엄 방식이 아니라 여야 간 잘못된 것은 대화를 통해서, 설득을 통해서, 인내를 통해서 항상 민주주의를 완성하는 것”이라며 “계엄으로 민주주의가 이뤄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 고용노동부 장관을 지낸 김 후보는 그간 불법계엄에 대해 사과하지 않았다. 김 후보는 불법계엄 직후 국회에서 열린 긴급대정부질문에서 “모두 일어나 사과하라”는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요구에 홀로 일어나지 않아 있기도 했다.
그러나 대통령 후보가 되자 돌연 사과에 나선 것이다.
한편 내란 우두머리인 윤석열 전 대통령은 사과나 반성 없이 침묵으로 일관했다.
재판에 넘겨진 이후 처음으로 법원 포토라인에 모습을 드러난 윤 전 대통령은 별도의 메시지를 내놓지는 않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5부(재판장 지귀연)는 12일 오전 10시15분부터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3차 공판기일을 진행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55분쯤 법원에 도착했다.
취재진이 윤 전 대통령에게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사과할 생각 있느냐’, ‘군부정권 이후 계엄 선포한 헌정사상 첫 대통령인데 스스로 자유민주주의자라 생각하느냐’고 물었지만 그는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