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발표 4.8%서 0.4%P 낮춰
부동산발 경제 위기 등으로 중국 경제 침체 우려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세계은행이 내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4.4%로 수정했다.
세계은행은 2일(현지시간)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을 4월 발표 때의 4.8%보다 0.4%포인트 내린 4.4%로 낮췄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은 4월과 같은 5.1%였다. 하향의 근거로는 높은 부채 수준, 부동산 경기 둔화, 고령화 등 장기적인 구조적 요인을 들었다.

중국과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 파푸아뉴기니 등 태평양 도서국들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및 태평양(EAP)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률은 올해 전망치가 5.1%에서 5.0%로, 내년 전망치가 4.8%에서 4.5%로 각각 하향됐다.
세계은행은 “중국의 문제가 해당 지역 전체에 중요하다”며 중국 경제 규모가 1% 줄어들 때마다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전체 GDP 증가율이 0.3%씩 하락한다고 설명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세계은행이 더딘 코로나19 회복세, 중국 부동산 위기,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등을 근거로 이 지역 성장률이 기록적으로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고 전했다.
세계은행은 또 중국·태국·베트남 등에서 일반정부 부채와 기업 부채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정부 부채가 많으면 민간 부문의 투자가 제한될 수 있고 부채 증가로 인한 금리 상승 시 사기업들의 대출비용이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중국·말레이시아·태국 등에서 가계 부채가 비교적 많다면서 가계가 빚을 갚는 데 소득을 쓰면 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최근 석유·구리 등 주요 원자재에 대한 중국 측 수요가 탄탄한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짚었다. 중국의 구리·철광석·석유 수요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8%, 7%, 6% 증가해 골드만삭스의 전망치를 상회했다는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이런 수요 증가는 녹색경제, 전력망, 부동산 완공 등에 따른 강력한 성장 등과 관련 있다”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