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24년 만의 6% 물가 상승, 고통 분담으로 위기 헤쳐 나가야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2-07-05 23:41:44 수정 : 2022-07-05 23:41:4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당분간 높은 오름세 이어갈 것”
정부·공공기관 허리띠 졸라매
기업·노동계 호응 이끌어내길
5일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뉴시스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6.0%로 치솟았다.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약 24년 만이다.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재료비·연료비 증가가 주요 원인이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전기·가스·수도(9.6%), 공업제품(9.3%), 개인서비스(5.8%), 농축수산물(4.8%) 등 모든 품목이 일제히 올랐다.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7.4%나 상승했다. 서민들의 한숨 소리가 커질 수 밖에 없다.

물가 상승세가 지나치게 가파르다. 지난 2월 3%대 후반을 기록하다가 불과 4개월 만에 6%대로 뛰어올랐다. 앞으로가 더 큰 문제다. 7월 이후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이 예고된 상황이다. 한국은행은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소비자물가가 앞으로도 고유가 지속, 전기·도시가스 요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당분간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물가에 취약한 여름철인 7∼8월에 물가 상승률이 7∼8%대에 이르고, 올해 연간 물가상승률은 정부 전망치인 4.7%를 넘어 5%대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은이 다음 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사상 처음 단행할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판이다.

물가와 금리가 한꺼번에 오르면 소비와 투자가 위축돼 경기가 차갑게 식기 마련이다. 이런 상황에서 물가 급등을 이유로 노동계가 큰 폭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면 물가를 더 끌어올리는 악순환이 벌어진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급등은 경제 주체들의 의사 결정에 불확실성을 높이면서, 한국 경제가 안정적인 성장 경로에서 이탈하게 만드는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자칫하면 우리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 상승)에 빠져들 수 있다는 경고여서 우려스럽다.

윤석열 대통령은 어제 국무회의에서 “앞으로 민생 현장에 나가 국민의 어려움을 듣고, 매주 비상경제 민생회의를 주재하겠다”고 했다. “민생의 어려움을 더는 데에 공공 부문이 솔선하고 앞장설 것”이라며 “불요불급한 자산을 매각하고 과감한 지출 구조조정과 공공기관 경영 효율화로 허리띠를 졸라맬 것”이라고도 했다. 시의적절한 발언이다. 정부와 공공기관은 급여 등 지출을 줄이는 데 모범을 보여야 한다. 그래야 기업의 가격 인상 억제와 노동계의 임금 인상 요구 및 은행권의 과도한 이자장사 자제를 요청할 명분이 생긴다. 지금이야말로 고통 분담으로 위기를 헤쳐 나가야 할 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
  •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
  • 수지 '하트 여신'
  • 탕웨이 '순백의 여신'
  • 트리플에스 코토네 '예쁨 폭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