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내 기업 ESG 대비 부실… ‘탄소 디스카운트’ 우려” [심층기획-차세대 재무제표 '임팩트 가중회계' 논의 가속]

관련이슈 세계뉴스룸

입력 : 2022-06-02 06:00:00 수정 : 2022-06-07 10:15:3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한국임팩트가치평가원 문철우 원장

지난달 2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한국표준협회(KSA)와 글로벌 임팩트 투자기구(GSG·Global Steering Group for Impact Investment)가 임팩트 투자 및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의제의 논의·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는 강명수 KSA 회장과 한국임팩트가치평가원의 문철우(사진) 원장(성균관대 교수)이 참여했다. 이를 통해 기존 재무제표 중심의 성과를 넘어 사회·환경적 성과까지 고려한 임팩트 투자와 관련한 국제적인 논의에 우리나라도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됐다. 협약 체결을 위해 출국하기 전인 지난달 19일 서울 강남구 KSA 사무실에서 문 원장을 만나 임팩트 가중회계에 대해 들어 봤다. 다음은 문 원장과 일문일답.

─임팩트 가중회계와 ESG를 비교한다면.

“가령 삼성과 애플이 같은 방식으로 탄소배출량을 측정해 발표하지만, 공정은 물론 각종 제조기반이나 원료가 다 다르기 때문에 그에 대한 금액은 다르게 산출될 수 있다. 생산기지도 제각각이기 때문에 환율 등을 반영해 화폐가치 비중도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것을 전체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방법론을 만드는 것이다.”

─선진국은 이미 수십 년 준비해 온 반면, ESG도 제대로 준비가 안 된 국내 기업은 더 힘들어질 수 있을 것 같다.

“국제회계기준(IFRS)재단 산하의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도 그렇고 유럽연합(EU)도 그렇고 선진국은 준비가 많이 된 상황에서 세팅을 한다. 신흥국이나 개발도상국에 분명히 사다리 걷어차기가 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선진국을 기준으로 마냥 쫓아가다가는 힘만 빼고 공급망에서 도태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국내 기업들은 ESG 중 특히 ‘G’(지배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취약성이 있다. 임팩트 가중회계의 환경·제품·고용 지표에도 G가 녹아들 수밖에 없는데.

“일본도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록 등으로부터 가장 두드려 맞는 게 G 분야다. 블랙록에서 연간 일본 기업에 보내는 서한만 100개가 넘는데, 실은 투자를 안 하겠다고 협박하는 것보다는 ESG 경영에 적극 개입하겠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업의 밸류에이션(가치평가) 상승을 통한 수익 포트폴리오 개선이 목표인 거다. 국내 기업도 이러한 변화에 서둘러 대비해야 한다.”

─ESG 전반에서 준비가 너무 늦다 보니 경착륙이 불가피해 보인다.

“고용지표 쪽이라면 정성적인 측면이 있다면서 다퉈 볼 여지라도 있지만, 환경 쪽은 과학적으로 측정되기 때문에 ‘빼박’(빼도 박도 못함)이다. 국내 기업과 독일 기업이 똑같이 5000억달러 매출을 냈다고 가정할 때 국내 기업은 1000억달러어치 탄소를 배출했고 독일 기업은 훨씬 못 미친다면 관세면 관세, 계약이면 계약 등 모든 분야에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주식과 관련해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대한 이야기가 한동안 나왔는데, 앞으로는 ‘카본 디스카운트’가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가장 큰 첫 파도로 닥칠 것이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ESG 가치가 퇴행하는 조짐이 보인다.

“영국이 석탄발전을 다시 늘리는 등 여러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데, 어디까지나 공급망 대란이나 우크라이나 사태를 잠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차원이다. 특히 유럽은 화석연료 시대 등 과거로 되돌아갈 수 없도록 법안을 비롯한 여러 거버넌스가 이미 바뀌었다.”


김준영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