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을 초토화한다”…북한이 수도권에 전술핵 들이댄 이유는 [박수찬의 軍]

관련이슈 박수찬의 軍 , 디지털기획

입력 : 2022-04-24 06:00:00 수정 : 2022-04-25 09:59:2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북한의 신형 전술유도무기가 16일 이동식발사차량(TEL)에서 화염을 뿜으며 발사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유도무기를 앞세운 남북 간 창과 방패의 대결 구도가 한층 뚜렷해지고 있다. 

 

북한은 지난 16일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신형 전술유도무기 시험발사를 감행했다. 

 

이날 우리 군이 탐지한 비행거리는 110㎞. 휴전선에서 수도권을 타격할 수 있는 거리다. 북한은 신형 전술유도무기 시험발사를 소개하면서 “전술핵 운용의 효과성과 화력임무 다각화 강화에 커다른 의의를 가진다”고 밝혔다. 수도권에 대한 핵위협을 한 것이나 다름없다.

 

북한 전술유도무기와 대구경 방사포를 저지할 방패도 조만간 모습을 드러낼 모양새다. 방위사업청은 지난해 6월 방위사업추진위원회를 통해 ‘한국형 아이언돔’으로 불리는 장사정포요격체계(LAMD) 개발을 결정, 지난 2월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개발 등의 일정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2035년에 전력화가 가능할 전망이다.

 

◆장사정포와 전술유도무기로 수도권 위협

 

과거 북한은 스커드 탄도미사일과 170㎜ 자주포, 방사포 등을 서부전선 일대에 배치, 수도권을 위협하는 전략을 써왔다.

 

하지만 액체연료를 쓰는 스커드 미사일은 발사 준비에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린다. 방사포는 사거리 등의 측면에서 수도권 전역을 타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같은 제약을 극복하고자 북한은 새로운 카드를 내밀었다. 정확도와 비행거리가 향상된 신형 유도무기를 연속발사해 한미 연합군의 방어망을 돌파하는 것이다.

 

대구경 방사포는 북한의 전략이 잘 드러나는 무기다. 구경이 600㎜로 추정되는 초대형방사포는 발사관 4개를 트럭에 탑재한 형태다. 

북한이 개발한 초대형방사포가 이동식발사차량(TEL)에서 가상 표적을 향해 날아가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약 400㎞ 떨어진 지상 표적을 향해 방사포탄 4발을 연속으로 쏠 수 있다. 발사간격도 19분에서 20초까지 단축했다. 평양 일대에서도 수도권 타격이 가능하다. 

 

한미 연합군의 포격으로부터 안전한 곳에서 서울 등 수도권 시가지를 공격해 시민들 사이에 혼란을 초래, 전쟁 수행능력을 마비시킬 수 있다.

 

지난 16일 모습을 드러낸 신형 전술유도무기는 초대형방사포보다 비행거리는 짧다. 하지만 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과 유사한 외형을 지니고 있고, 궤적도 탄도미사일과 흡사하다. 우리 군도 탄도미사일로 분류한다. 그만큼 탄두중량도 초대형방사포보다 훨씬 크다.

 

발사관이 4개라는 점에서 초대형방사포처럼 연속발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사거리는 짧아도 파괴력은 더 강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신형 전술유도무기는 한·미 연합군에 매우 위협적인 무기다. 최대고도가 20㎞ 수준에 불과해 휴전선 일대에 있는 레이더는 충분한 거리에서 탐지하기가 어렵다. 이는 북한의 기습공격이 성공할 가능성을 높인다.

 

초대형방사포처럼 단시간 내 연속발사 능력을 입증한다면 위력은 더욱 강해진다. 

 

황해도에서 스커드-B를 발사하면 5분 안에 서울에 도달한다. 북한군이 신형 전술유도무기를 스커드-B보다 휴전선에 더 가까이 배치한 뒤 짧은 시간차를 두고 같은 표적에 2발 이상을 발사하면, 한미 연합군의 방공망을 뚫을 확률도 높아진다. 

북한의 신형 전술유도무기가 16일 이동식발사차량(TEL)에서 발사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이를 위해 북한은 연속발사 능력을 검증하기 위한 추가 시험발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북한 주장처럼 전술핵 탑재가 가능해지면 휴전선 일대의 대치 국면도 영향을 받는다. 북한군이 국지도발을 감행하려 할 때, 한미 연합군의 반격 가능성을 의식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전술핵이 배치되면 자신들에게 섣불리 반격을 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 국지도발을 더욱 쉽게 생각할 수 있다. 휴전선 정세가 그만큼 불안해지는 셈이다.

 

◆장사정포 저지할 요격체계 개발

 

북한이 장사정포 전력을 강화하면서 우리 군도 대응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북한이 장사정포를 쏘면 대포병레이더 등을 통해 포격 원점을 탐지, 반격하는 대화력전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날아오는 장사정포 포탄을 요격하는 체계를 구축해 공격과 방어전력을 모두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인구가 1000만명 이상인 서울에 포격이 집중되면, 막대한 인명피해로 수도권이 공황에 빠질 위험이 높다. 

한국군이 개발할 장사정포요격체계 중 요격미사일 발사대 상상도. 발사대 1대에 32발의 요격미사일이 탑재된다. 국방부 제공

미국 랜드연구소가 2020년 발표한 ‘북한의 재래포병전력: 보복, 강압, 억제, 그리고 공포 유발 수단’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전방지역에 배치된 포병전력의 기습공격으로 최대 20만명의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다. 장사정포 낙하 전에 요격하는 체계가 필요한 이유다.

 

군 당국은 장사정포 요격체계를 구축해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탐색개발이 진행중인 장사정포 요격체계는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로켓을 성공적으로 요격한 이스라엘 아이언돔과 비교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제 성능은 아이언돔보다 우위에 있다. 하마스 로켓은 1~2발씩 간헐적으로 날아오지만, 북한군 방사포는 많은 수량의 로켓들을 매우 짧은 간격을 두고 한꺼번에 발사할 수 있다. 

 

군은 이같은 점을 고려, 장사정포 요격체계 개발을 결정하면서 1개 포대에 배치할 요격미사일 발사대를 아이언돔보다 두 배 많은 6대로 설정하고 요격미사일 탑재량도 대폭 늘렸다.

 

장사정포 요격체계 개발이 성공하려면 핵심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LIG넥스원이 지난해 10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에 공개한 장사정포 요격체계 모형. 세계일보 자료사진

빠른 속도로 날아가는 장사정포 포탄을 요격미사일이 탐지·파괴하려면 미사일 탄두 부분에 고성능 탐색기를 설치해야 한다. 장사정포 포탄을 추적하는데 필요한 유도 기능도 있어야 한다. 이 기술들은 외국에서 입수하기 어려운 만큼 독자 개발이 필수다.

 

짧은 간격을 두고 날아오는 장사정포 포탄들을 레이더가 정확히 포착하는 것도 난제다. 300㎜ 방사포 등은 6발 이상의 방사포탄을 빠르게 연속발사한다. 

 

기존 레이더로 포착하면 단일 표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를 정확하게 분리해서 실제 숫자를 확인해야 ‘맞춤형 요격’이 가능하다. 

 

요격되어 부서진 방사포탄에서 발생하는 파편과 실제 포탄을 구별하는 것도 필수다. 낮은 고도로 한꺼번에 날아오는 포탄에 대한 요격 우선순위를 실시간으로 정하고 발사대에 요격미사일 발사명령을 내리는데 필요한 지휘통제 관련 기술도 요구된다. 

한국군이 개발할 장사정포요격체계 상상도. 레이더와 발사대, 교전통제소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돼 북한 장사정포 포탄을 요격한다. ADD 제공

이같은 부분을 모두 충족하기 위해선 아이언돔보다 난이도가 훨씬 높은 기술이 필요하다.

 

난이도가 높은 만큼 기술 개발이 성공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군 당국이 2035년쯤 장사정포 요격체계 전력화를 마무리할 예정인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문제는 전력화 전까지 10여년 간 북한 장사정포 위협을 무엇으로 대응할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장사정포 요격체계와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를 결합한 다층 방어체계를 어떻게 만들지도 확실치 않다. 

 

전술핵 탑재가 거론될 정도로 북한 장사정포 위협이 고도화되는 만큼 개발과 전력화 완료 시점을 더욱 앞당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하지만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사업의 특성상 사업 일정을 단축하기도 쉽지 않아 군 당국의 고심이 깊어질 전망이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혜윤 '사랑스러운 볼하트'
  • 김혜윤 '사랑스러운 볼하트'
  • 채수빈 '매력적인 미소'
  • 조보아 '아름다운 미소'
  • 아이브 장원영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