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모의 재력에 따라 미래가 결정되는 ‘세습자본주의’가 심화했습니다. (청년세대가) 주식과 비트코인에 열중하는 건 당연한 수순입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청년세대는 ‘공정’을 원하지 ‘특혜’를 원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최근 불거진 성별갈등과 주식·비트코인에 열광하는 청년세대의 자화상을 두고 근본적 해결책을 제시하자는 취지에서다. 부동산 정책, 공직자 투기에 이어 가상화폐 논란으로 청년세대의 민심이 들끓는 가운데 여권 대선주자로서 자신이 주장해온 공정의 가치를 각인시키려는 시도로도 풀이된다.
이 지사는 먼저 여당이 완패한 서울·부산시장 재보궐 선거를 끄집어냈다. 20·30세대가 여당에 등을 돌렸다는 세간의 지적을 상기시키기 위해서다. 그는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제가) ‘청년은 전통적 진보·보수라는 이분법을 거부한다’고 말씀드렸지만, 여전히 우리 정치가 청년세대를 있는 그대로 직시하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지금 청년들이 사는 세상은 너무도 다르다. 사회의 성장판이 예전 같지 않아 선택지가 줄었다”고 말했다.
이어 “기회의 총량이 적고 경쟁이 치열해지다 보니 그만큼 불공정에 대한 분노는 심해질 수밖에 없다”면서 “세대 갈등도 성별갈등도 이런 시대적 환경조건과 맞물려 있다”고 덧붙였다.

이 지사는 “그대로 내어놓고 토론하고 합의 가능한 공정한 정책을 도출하면 된다. 가장 나쁜 건 갈등을 회피하고 방치하는 것”이라며 해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비단 몇몇 군 관련 정책으로 청년 남성의 마음을 돌리려는 시도는 성공하기 어려워 보인다”며 최근 여당의 움직임을 비판했다.
그는 “근본적 해결책은 지속 가능한 성장의 동력을 다시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제가 줄곧 말씀드리는 기본소득, 기본주택, 기본금융 모두 그 방향을 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