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듀크대 “영·유아 자폐증 진단 스마트폰·태블릿으로도 가능”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1-04-29 09:48:42 수정 : 2021-04-29 17:01:59

인쇄 메일 url 공유 - +

美 연구팀, 영유아 대상 자폐증 진단 앱 개발
16~38개월 영유아에 영상 보여줘 시선 패턴 통해 분석

 

최근 해외에서 생후 16~38개월 영유아를 대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ASD‧자폐증)를 진단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이 개발됐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도 아이의 자폐증을 쉽게 진단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28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듀크대 자폐증·뇌 발달 센터의 제럴딘 도슨 박사 연구팀은 이 같은 영유아 자폐증 진단 앱을 개발했다.

 

앱은 전략적으로 설계된 짤막한 비디오를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로 보여주면서 이를 쳐다보는 영유아의 시선 패턴을 분석해 자폐증을 진단하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먼저 아기가 자폐아의 특징인 사람보다 사물을 더 많이 쳐다보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비디오를 디자인했다.

 

예를 들어 한 비디오는 한 여자가 팽이를 가지고 재미있게 놀고 있는데 화면의 한쪽은 여자가 차지하고 다른 쪽은 도는 팽이가 차지하고 있다.

 

보통 아기들은 비디오가 끝날 때까지 전체 화면을 보면서 여자에게 더 자주 시선을 보내지만,  자폐아는 팽이가 돌고 있는 쪽 화면을 더 자주 뚫어지게 쳐다본다.

 

또 다른 비디오는 한 남자가 비눗방울을 불어 날리고 있는데 화면 구성은 마찬가지다.

 

이 같은 비디오 여러 편을 스마트폰 앱에 넣어 아기에게 보여주고 비디오를 보는 시선 패턴의 차이로 자폐아를 구분해 내는 것이다.

 

시선 추적법은 전에도 자폐증 진단에 사용되었지만, 시선 패턴 분석에는 특별한 장비와 기술이 필요했다.

 

하지만 이 앱은 전면 카메라를 이용해 아기의 행동을 기록한다.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만 있으면 10분이면 된다.

 

연구팀은 휴대용 장치로 시선 패턴을 유도하고 측정할 수 있도록 전략적인 방법으로 비디오를 설계했다. 이를 가지고 걸음마를 배우는 생후 16~38개월 영유아 993명을 대상으로 이를 실험했다. 이 아이들의 평균 연령은 ASD가 자주 발견되는 시기인 생후 21개월이었다.

 

스마트폰 앱이 찍은 것은 컴퓨터 버전으로 전환돼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분석됐다.

 

이 중 유난히 사람보다 사물에 시선이 쏠린 40명은 나중 표준 진단법에 의해 자폐증 진단을 받았다.

 

현재 생후 6개월 된 아기도 이 방법으로 자폐증 진단이 가능한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 소아과학’(JAMA Pediatrics) 최신호에 발표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
  • 엔믹스 규진 '시크한 매력'
  • 나나 '매력적인 눈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