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교실변화·교사충원·지역격차…고교학점제 '숙제' 어떻게?

입력 : 2021-04-25 19:23:03 수정 : 2021-04-25 19:23:0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2025년 제도 전면 도입
학생 선택한 과목 따라 교실 이동 수업
동선 최소화 위해 공간설계 검토 나서

학급당 학생수 14명 유지 이상적 조건
보충지도 교사·과정 설계 전문가 확보

교육소외지역 교사·강사 인력풀 구축
ICT활용 교육 통해 지역격차도 해소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으로 교육부가 새로운 고민을 안게 됐다.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들이 교실을 옮겨다니며 수업을 골라 듣는다. 개인별 시간표에 따라 공강도 생긴다. 수십년간 비슷한 구조였던 학교 건물이 대폭 달라질 수밖에 없다. 필요한 교사 수도 늘어난다. 교육의 중심이 학생의 선택으로 옮겨감에 따라 기존 환경과 완전히 다른 교육환경을 조성해야 하는 것이다.

25일 교육계에 따르면 고교학점제 도입에 앞서 학교 인프라 구축이 필수과제로 떠올랐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충분한 시설·인프라 확충 등이 선결과제”라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앞두고 학교공간 재편성과 교원 확보, 지역 간 교육격차 우려를 종식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이다. 교육부는 먼저 고교학점제에 맞춘 학교공간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5년까지 모든 고등학교에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불편이 없도록 학생의 동선을 고려해 개인·수업공간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학교공간 어떻게 변하나

교육부는 우선 유연하게 활용될 수 있는 학습공간을 구상하고 있다. 과목의 특성과 교사의 학습방식에 맞는 공간을 조성하겠다는 의미다. 필요에 따라 교실 규모를 바꿀 수 있는 것은 물론 에듀테크(교육기술) 활용이 늘어나는 추세에 맞춰 시공간의 제약을 덜 받는 교실을 구상 중이다.

교실 간 경계도 없앨 방침이다. 기존에 지정한 목적으로만 활용해온 도서실과 시청각실, 동아리실 등 지원공간을 학생활동이 가능한 복합공간으로 활용하는 안을 구상 중이다. 도서실의 경우 도서 대출·열람 외에 수업은 물론 학습과 세미나, 동아리 활동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복합용도로 쓸 수 있다.

학생에게 필요한 공간이 늘어나는 만큼 공용공간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이 스스로 선택한 과목에 따라 개인별 시간표를 짜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공강이 발생한다. 이때 학생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소그룹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하다. 교육부는 사물함을 배치하는 정도로만 활용했던 홈베이스나 복도 등 공용공간을 학생이 쉬거나 개별학습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전환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고교학점제가 적용되면 학생들은 경우에 따라 수업시간마다 교실을 이동해야 한다. 이용욱 교육부 고교혁신과 서기관은 “학생과 교원의 이동 동선 최소화를 위한 사용자 중심의 공간설계를 검토하고 있다”며 “예컨대 홈베이스 등 공용공간을 학생 동선 중심에 배치하고, 교무실 등 교사 중심 공간과 겹치게 둬 학생과 교사 간 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교사충원은 어떻게 이뤄지나

교원충원도 시급한 과제다. 한국교육개발원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수급 관련 쟁점’ 보고서를 통해 이상적인 수업조건을 가정할 경우 전 과목 교사 수가 8만8106명 부족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상적인 조건은 평균 수업시수를 12시간으로 조정하고 학급당 학생 수를 14명으로 유지한 상태로 설정했다.

한국교총은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 교원 업무량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충분한 교원 확충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고 요구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학령인구가 급감하는데 교원을 확대하는 것이 맞느냐고 우려한다.

교육부는 내년까지 개설과목 증가와 학업설계, 미이수 지도 등 학점제에서의 교원 수요를 고려한 새로운 교원 수급 기준을 마련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교원자격이 없는 박사급 전문가도 특정 교과를 한시적으로 담당하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2024년까지는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운영을 위해 시도교육청에서 해당 학교에 교과 교사 1인을 추가 배치할 수 있도록 정원을 배정할 계획이다. 2025년 이후에는 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결과를 분석해 선택과목 담당교사나 미이수 학생 보충지도 전담교사, 교육과정 설계 전문가 등 고교학점제 운영에 소요되는 추가 정원을 산정해 확보할 계획이다.

◆지역 간 교육격차 우려는 어쩌나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방안도 모색 중이다. 교육부는 교육소외지역의 교사와 강사 인력풀을 구축하고 에듀택시 등을 지원해 안전한 통학요건을 조성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올해까지 초중고 교실에 무선망을 구축하고 노후 컴퓨터 20만대를 교체해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기반 강화에 나선다. 기반시설이 갖춰지면 도서벽지에서도 희소과목 중심으로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해 학생들이 최소 학업 성취수준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교육부는 기대하고 있다.

또 도시와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 간 1대 1 매칭을 통해 교육과정을 협력하고 교원 등을 대상으로 전문교과 지도 연수 등을 실시한다. 교육청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을 강화해 학교와 마을이 협력하는 미래교육지구를 구성하고 직업교육 혁신지구를 설정해 학점제와 연계를 추진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교의 모습이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진다”며 “남은 과제인 충분한 재정 확보와 학교 규모에 따른 맞춤형 공간설계 등을 위해 다각도로 검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필재 기자 rus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천우희 '미소 천사'
  • 트와이스 지효 '상큼 하트'
  • 한가인 '사랑스러운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