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만에 번복하며 진화 나서
中 “獨 등 유럽과 교류 촉진 계기”
美 번복에도 국제 여론전 조짐

미국 정부가 중국의 신장 위구르 인권탄압 등을 이유로 2022년 2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동계올림픽을 동맹국들과 공동으로 보이콧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가 하루 만에 이를 번복하며 진화에 나섰다. 미국의 입장 번복에도 중국은 의구심을 감추지 않으며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국제사회 지지를 호소하는 모습이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7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2022년 올림픽에 대한 우리의 입장이 변하지 않았다”며 “우리가 동맹국 및 파트너 국가들과 공동으로 보이콧하려는 어떤 논의도 한 적이 없고, 논의하고 있지도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동맹국 및 파트너 국가들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으나 우리 관점에서 베이징 올림픽 변화에 관해 논의를 진행 중인 것이 없다”고 덧붙였다.
전날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미국이 동맹국들과 베이징 올림픽 공동 보이콧에 나설 것이냐는 질문에 “그것은 우리가 분명히 논의하고 싶은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미국이 베이징 올림픽 공동 보이콧을 위해 동맹국들과 협의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돼 큰 파장을 일으켰다.
사키 대변인은 미국이 현 단계에서 중국에 대한 인권 압박 카드로 베이징 올림픽 공동 보이콧을 추진하지는 않을 것이나, 미국 대표단의 참가 여부는 코로나19 상황에 대한 전문가들의 판단에 따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무부가 백악관과의 조율 없이 섣불리 밝힌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스포츠 전문가들은 올림픽 보이콧에 부정적이다. 미국올림픽·패럴림픽위원회 수잰 라이언스 위원장은 “미국의 젊은 선수들이 정치적 노리개로 사용돼야 한다고 믿지 않는다”며 “이것(올림픽 보이콧)은 선수들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국제 여론전에 나설 조짐이다. 8일 인민일보에 따르면 시진핑 국가주석은 전날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통화하며 내년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지지를 요청했다. 유럽연합(EU)을 이끄는 독일은 미국의 대표적 동맹국이다. 시 주석은 통화에서 “내년은 중국과 독일 수교 50주년이고,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해”라며 “과학기술, 교육, 문화, 스포츠 분야의 교류를 촉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과 독일, 중국과 유럽이 협력을 강화하면 의미 있는 큰 일을 해낼 수 있다”고도 했다.
워싱턴·베이징=국기연·이귀전 특파원ku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