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상위 30개사 탄소배출권 3년 새 142% 증가… 금감원 "공시 미흡"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1-04-08 15:36:51 수정 : 2021-04-08 15:36:5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선언으로 배출권 관리가 엄격해짐에 따라 기업의 배출권 자산·부채 규모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정부로부터 배출권을 할당받은 상장법인 중 상위 30개사의 배출권 자산은 작년 말 기준 5237억원, 배출부채는 7092억원으로 집계됐다. 3년 전보다 각각 142.1%, 7.8% 증가한 규모다.

 

정부는 2015년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면서 각 기업에 탄소배출 할당량을 지정했다.

 

이에 따라 기업은 정부에서 할당받은 배출권의 여분 또는 부족분을 거래소에서 매매하고, 해당 거래내역을 회계처리해 재무제표에 반영해야 한다.

 

배출권 매입액은 배출권 자산으로, 배출권 제출의무 이행을 위한 소요액 추정치는 배출부채로 회계처리한다.

 

현재 기업 배출권 보유량 대부분은 무상 할당분으로 구성돼 있어 배출권 자산 규모가 작다.

 

그러나 배출권 거래제에서 배출권을 사야 하는 유상할당 비중이 ‘1차 전량무상→2차(2018년~2020년) 3%→3차(2021~2025년) 10%’로 확대됨에 따라 배출권 자산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금감원은 예상했다.

 

기업이 정부의 배출권 할당량 감축 계획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 초과 사용에 따른 배출부채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배출권 시장을 통한 배출권 거래량도 매년 증가 추세다. 2015년 570만t이었던 배출권 거래량은 작년 4390만t까지 늘어났다.

 

같은 기간 배출권의 연평균가격은 1만1013원에서 2만9604원으로 올랐다.

 

다만 상장사들의 배출권 관련 공시는 미흡한 상태다.

 

주요 상장사 30개사 중 24개사가 배출권 관련 회계정책으로 일반기업회계기준(K-GAAP)을 준용하고 있음에도, K-GAAP에서 요구하는 주석사항(무상 할당받은 배출권 수량, 보유한 배출권 수량 증감, 배출권 자산·부채 증감, 배출량 추정치)을 모두 공시한 회사는 6곳에 불과했다.

 

9개사는 주석 요구사항을 전혀 기재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금감원은 “기업 배출권 거래 규모가 증가하면 관련 정보의 중요성도 커질 것이므로 일관되고 충실한 정보 제공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금감원은 상장회사협의회, 코스닥협회, 한국공인회계사회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권 관련 주석공시 모범사례를 안내해 상장기업 등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상장사들이 K-GAAP 등을 준용해 배출권 회계처리를 하고 관련 내용을 충실하게 주석공시 하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