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완주군 동상면 산간 오지마을 주민들의 구구절절한 삶의 이야기를 담은 시집이 발간돼 공감을 얻고 있다. 동산면 행정복지센터가 7일 마을공동체 육성 프로그램 일환으로 발간한 시집 ‘홍시 먹고 뱉은 말이 시가 되다’에는 주민들의 애환이 담겼다.
시집은 이곳에서 나고 자라거나 평생을 함께한 주민들이 들려준 삶의 소소한 이야기와 희노애락을 채록해 ‘호랭이 물어가네’, ‘다시 호미를 들다’ 등 6부로 나눠 총 150편(270쪽)을 수록했다. 다섯 살배기 어린이부터 100세 어르신까지 말문을 연 글에는 고향 홍시감을 먹다 톡톡 뱉어낸 듯 다양한 사연들이 하나의 시가 돼 잔잔한 감동을 준다.
밤티마을 박채언(5)양은 ‘강아지’라는 시를 통해 ‘우리 집 강아지 미오는/ 안아달라고 멍멍멍/ 우리 집 강아지 딸기는/ 안아달라고 월월월’이라고 썼다. 친구가 많지 않은 산골에서 강아지와 함께 뛰노는 동심을 느끼게 한다. 올해로 101세가 된 수만리 입석마을 백성례 할머니는 시 ‘영감 땡감’을 통해 남편에 대한 솔직한 마음을 털어놨다. ‘영감 산자락에 묻은 지 수년 지나/ 백 살에 초승달 허리 이마 주름 뒤덮는데/ 왜 어찌 날 안 데려가요이, 제발 후딱 데려가소, 영감’.
시집이 출간되기까지 박병윤(52) 동상면장의 힘이 컸다. 시인이기도 한 그는 지난해 면장 취임 이후 한 주민의 제안으로 출판을 계획하고 직접 나섰다. 작가나 출판사에 용역을 주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수천만 원이 소요되고 코로나19로 외지인 대면을 꺼리는 분위기도 역력했기 때문이다.
일과 후나 휴일을 이용해 틈틈이 시간을 내 발품을 팔아 동네 주민의 가슴 속 깊은 곳에 묻어두거나 봄꽃처럼 피어나는 삶의 이야기를 듣고 적고 녹음했다. 그러다 탈진해 두번이나 병원 신세를 지기도 했지만, 6개월 노력 끝에 원고를 완성해 전국 최초의 구술채록 시집으로 탄생했다.
소설가 윤흥길씨는 발문 서평에서 “깊은 산골 작은 고장 동상면에 왜배기 대짜 물건이 돌출했다”며 “친숙한 농경 언어와 토착 정서의 때때옷을 입혀놓은 시편 하나하나가 사뭇 감동적인 독후감을 안겨준다”고 말했다.
완주군은 오는 14일 오후 2시 동상면 학동마을에 있는 문화공간 여산재에서 시집 출판회를 열어 수록 시를 낭송하고 후일담을 들려준다.
완주=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