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함께 환경특별시로 도약을 준비 중인 인천시가 탄소중립 실현에 속도를 높인다. 이를 위해 그린건축물과 친환경공장을 확대하고 탄소를 흡수하는 도시숲 마련 등을 추진한다.
6일 인천시에 따르면 2030년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32.6% 감축 목표 등이 담긴 ‘녹색건축물 조성 세부실행계획’을 수립해 시행한다. 에너지이용 효율 및 신·재생에너지 기술 등을 적용해 자연친화적으로 설계·시공이 이뤄져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우리나라의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7년 기준 산업(55.3%) 다음으로 건축물(24.6%)이 전체 배출량의 4분의 1을 차지할 만큼 심각하다. 일상과 매우 밀접해 제일 현실적 방안으로 꼽히는 녹색건축물은 탄소중립을 앞당길 수 있는 핵심사업이다.
우선 연내에 신축, 개축 등 건축심의 대상에 친환경 및 에너지 성능의 기준을 적용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 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공간에 그린리모델링을 도입하고 10월로 예정된 인천건축문화제 때 시민 눈높이에 맞는 창의적인 미래 아이디어를 발굴해 정책에 반영시킨다. 이외 대중화와 시민들의 인식 확산 도모에도 나선다.
이와 함께 인천시는 자원순환정책 대전환과 탄소배출 감축을 두 축으로 한 ‘인천형 그린뉴딜’에 본격 착수했다. 인천에는 올해 축구장 13개 면적으로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도시숲이 만들어진다. 2022년까지 전기자동차 2만2000대, 수소연료전지차 2500대 등의 보급이 이뤄진다.
산업단지에는 친환경으로 개조한 클린팩토리가 지난해 기준 15개에서 2025년 90개까지 늘린다. 자체매립지 ‘인천 에코랜드’는 자원순환센터에서 발생된 소각재를 재활용 후 남은 잔재물 및 기타 불연성 잔재물만 묻어 1일 반입량이 20톤 트럭 8대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직매립 방식과 달라 주변지역에 환경 피해가 발생하지 않을 전망이다.
인천=강승훈 기자 shka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