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수리조선업의 스마트화를 통해 수리조선산업 중심지로 도약한다. 부산은 국내 수리조선산업의 70%가 집중돼 있다.
6일 부산시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1년도 스마트 특성화 기반구축사업 중 수리조선 분야 지원사업인 ‘스마트 수리조선산업 지원기반 구축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시는 2023년까지 77억6000만원을 투입해 △스마트 수리조선산업 지원 플랫폼 구축 △친환경 블라스팅 및 역설계 등 첨단장비 확충과 검사·인증 등의 기술지원 △청년 유입을 위한 수리조선 전문교육 프로그램 운영 △신규 해외시장 개척 마케팅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수리조선산업은 선박의 개조·보수·정비 등을 수행하는 산업활동으로 선박의 내·외부 수리와 개조, 검사 등을 중심으로 해운, 선박관리, 선용품, 조선 기자재, 기계 및 철강, 전기·전자산업 등 여러 산업 분야와 연계되어 있어 직·간접적인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산업이다.
부산테크노파크 주관으로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중소조선연구원과 한국선급, 한국선박수리협동조합이 참여하고, 한국플랜트엔지니어링협동조합과 부산항만공사, 한국해양대, 부경대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최근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 등으로 수리조선 시장의 확대 가능성이 커지면서 디지털 정보 시스템 부재, 인력 고령화, 설계역량 부족 등의 극복이 필요한 시점에 이번 사업을 통해 수리조선산업의 고도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 유치로 부산지역 수리조선산업의 사고예방과 주변 환경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부산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수리조선업의 스마트화를 선도하는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