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美·이란 ‘핵 합의 복귀’ 참가국 회의 前 기싸움

입력 : 2021-04-04 20:01:56 수정 : 2021-04-04 20:01:54

인쇄 메일 url 공유 - +

美 “먼저 핵 활동 중단… 기존 합의 지켜야”
이란 “先제재 해제”… 美·참가국 균열 노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왼쪽), 사이드 하티브자데 이란 외무부 대변인. AFP연합뉴스·이란 정부 홈페이지 캡처

미국의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복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오스트리아 빈에서 6일(현지시간) 열리는 참가국 회의를 앞두고 미국과 이란 간 기싸움이 치열하다. 미국과 이란은 직접 대면하는 대신 각각 나머지 참가국들과의 개별 회담을 통해 자국 입장을 관철하려들 전망이다.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독일 6개국은 2015년 이란과 핵 합의를 체결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정부 시절인 2018년 5월 미국은 “이 합의로는 이란의 핵 개발을 막을 수 없다”며 탈퇴를 선언했다. 트럼프 정부는 이란에 새 협정 체결을 요구하면서 제재를 복원하고 신규 제재까지 가했다. 이에 이란은 2019년 5월부터 단계적으로 핵 합의를 위반하는 한편 핵 활동도 재개했다.

미국은 핵 합의에 복귀하려면 이란이 먼저 핵 활동을 중단하는 등 기존 합의를 지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JCPOA 합의가 끝나는 2030년 이후에도 이란이 핵무기를 만들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새로운 조치에 대한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란은 “미국이 먼저 제재를 해제해야 한다”며 “단계적인 핵 합의 복귀는 고려하지 않는다”고 맞섰다. 그러면서 프랑스 정부를 향해 “오는 6일 열리는 회담에서 생산적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미국과 다른 회의 참가국들 사이에 ‘균열’을 일으키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이란 원자력청은 “현재까지 20 농축 우라늄을 50㎏가량 생산했고, 연말에는 120㎏까지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란이 이 속도를 유지하면 1년 이내에 초기 단계 핵무기를 생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
  • 엔믹스 규진 '시크한 매력'
  • 나나 '매력적인 눈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