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 폭을 축소하는 가운데서도 재건축 추진 단지들의 국지적 강세는 이어지고 있다.
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지난 2월 5일 0.17%에서 지난 2일 0.07%로 두 달 연속 오름폭이 둔화했다.
이 중 서울 재건축 추진 단지들의 아파트값이 올해 들어 1.83% 올라 일반 아파트값 상승률(1.47%)보다 0.36%포인트 높다.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 금리 인상, 공시가격 상승에 따른 보유세 부담 우려가 더해지며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지는 분위기지만, 4·7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주요 후보들이 재건축 규제 완화를 언급하면서 기대감이 커지는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12차 전용면적 110.82㎡의 매매가는 지난달 23일 처음으로 30억원(13층)을 돌파한 데 이어, 이달 1일 32억5천만원(8층)으로 역대 최고가를 또다시 경신했다.
이 단지가 속한 압구정2구역(신현대 9·11·12차)은 현재 조합 설립을 목전에 둔 상황이다.
서울을 비롯한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 아파트를 조합 설립 인가 이후에 매수하면 입주권이 나오지 않는다.
집주인이 10년 보유, 5년 거주 이상이고 1주택자인 조합원 매물에만 새 소유주에게 입주권이 승계되지만, 이를 충족하는 가구는 많지 않다.
이 때문에 조합 설립 인가 직전인 최근 가격 급등세가 지속하고 있다.
역시 조합 설립 인가를 앞둔 압구정3구역(현대1∼7, 10·13·14차·대림빌라트)도 이와 비슷한 상황이다.
현대아파트 1차 전용면적 196.21㎡는 지난달 15일 63억원(10층)에 팔려 그 전달 5일에 체결된 매매가(51억5천만원·3층)보다 무려 11억5천만원이나 올랐다.
안중근 압구정3구역 조합장은 "이달 중순께 강남구청으로부터 조합 설립 인가 여부에 대한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며 "조합 설립 인가 직전인 데다, 서울시장 후보들이 재건축 규제 완화를 언급하면서 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11단지의 경우 최근 안전진단에서 최종 탈락했음에도 재건축에 대한 기대감은 크게 꺾이지 않는 분위기다.
목동11단지 근처에서 영업하는 한 부동산 중개업소의 대표는 "급매물을 찾는 매수 문의가 늘었지만, 호가는 떨어지지 않는다"며 "서울시장 후보들이 재건축 규제를 풀겠다는 공약에 주민들이 일말의 희망을 품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9월 최종 안전진단에서 탈락한 목동9단지 또한 당시 가격이 일시 조정을 받았다가 올해 들어 오름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전용 71.37㎡의 경우 지난 2월 26일 15억8천만원(8층)으로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인근 중개업소에서는 "현재 매물이 거의 없고 시세는 16억∼16억5천만원에 형성돼있다"고 소개했다.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는 조만간 결과가 나올 예정인 8단지를 제외하고 14개 단지 가운데 13개 단지가 1차 안전진단 관문을 통과했다.
목동 재건축 추진위원회 관계자는 "1차 안전진단을 통과한 재건축 단지들이 2차 진단을 시장 선거가 끝난 이후로 늦추는 분위기"라면서 "내년에 대선도 있고, 현재 부동산으로 민심이 들끓고 있으니 규제를 완화해줄 것이라는 희망을 품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재건축 규제 완화는 단기간에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은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사진=연합뉴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