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민 4명 중 1명 “나는 보수적”… 3년 연속 증가세

입력 : 2021-04-04 11:00:00 수정 : 2021-04-04 18:52:12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국행정연구원, 성인 8336명 대상 ‘2020년 사회통합실태조사’
이념성향 ‘중도’ 47.6%로 가장 많아…‘진보’ 26.8%, ‘보수’ 25.7%
보수성향 응답자 ‘2017년 21.0%’ 이후 3년 연속 증가세
진보성향 응답자 ‘2018년 31.4%’ 이후 2년째 감소세
사진=뉴시스

우리 국민 중 자신의 이념성향이 보수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25.7%(2020년 기준)로, 3년 연속으로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스스로 진보성향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26.8%로 2년째 감소세를 기록해 둘 사이의 격차는 바짝 좁혀졌다.

 

4일 한국행정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9∼10월 19세 이상 성인 남녀 8336명을 대상으로 한 ‘2020 사회통합실태조사’ 결과, 자신의 이념성향을 ‘보수적’(매우 보수적·다소 보수적 합계)이라고 본 응답자 비율은 25.7%로 전년도 조사(24.7%)에서보다 1.0%포인트 높아졌다. 이같은 상승에는 ‘다소 보수적’이라는 응답 비율이 2019년 20.9%에서 지난해 22.1%로 1.2%포인트 높아진 점이 역할을 했다. ‘매우 보수적’ 응답은 2019년 3.8%에서 지난해 3.6%로 소폭 감소했다.

 

이에 비해 자신의 이념성향이 ‘진보적’(매우 진보적·다소 진보적 합계)이라고 한 응답 비중은 26.8%로 전년도(28.0%)보다 1.2%포인트 내려갔다. ‘다소 진보적’이라는 응답은 24.0%, ‘매우 진보적’은 2.8%로 각각 전년도보다 0.9%포인트, 0.3%포인트 떨어졌다. 

 

자신의 이념성향이 ‘중도적’이라고 답한 사람은 47.6%로 전년도 조사(47.2%)보다 소폭 비율이 올랐다.

 

한국행정연구원이 앞서 진행했던 조사에선 자신을 ‘보수성향’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2013년 31.0%에서 2017년 21.0%로 급락한 바 있다. 이후 2018년 조사에서 21.2%를 기록해 오름세로 돌아선 뒤, 2019년 24.7%, 지난해 25.7%로 3년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4·7 재·보궐선거 사전투표 첫날인 지난 2일 오후. 소공동 사전투표소에 시민들이 줄지어 있다. 연합뉴스

진보성향 응답률은 이와 반대의 흐름을 보인다. 2013년 22.6%였던 응답률은 2016년 26.1%로 점차 오르다 2017년 30.6%로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보수성향 응답률을 뛰어넘었다. 2018년에는 31.4%로 더 올랐으나, 2019년 28.0%, 지난해 26.8%로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2018년 10.2%포인트로까지 벌어졌던 진보·보수 응답률 차이는 2019년 3.3%포인트, 지난해 1.1%포인트로 점차 좁혀지는 추세다.

 

이념성향은 성별, 연령별, 가구소득별로 차이를 보였다. 남성이 여성에 비해 중도적이라는 응답이 적고, 진보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또 연령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보수적이라는 응답이 높고, 진보적이라는 응답은 낮았다.

 

한국행정연구원은 “이념성향이 중도적이라는 응답은 47.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년에 비해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면서 “(이번 조사에서) 성별, 연령별, 가구소득별 이념성향 차이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강진 기자 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