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의 변화로 국내산 축산물 소비가 증가했다는 소식을 자주 접한다. 배달앱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온라인 비대면 유통 시장의 성장으로 축산업의 시장구조도 재편되고 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러한 축산물 유통문화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친환경 축산과 동물복지에 기반 한 생산 시스템의 설계와 이를 기반으로 한 소비자 욕구 충족을 위한 안전한 축산물 유통이 필요하다.
소비자 행동의 변화는 축산물의 생산·가공·유통·소비에 이르기까지 ICT, 빅데이터분석 등의 요소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기술체계의 시대를 열게 했다.
그동안 축산업은 우리나라 농업의 40%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꾸준한 성장을 해왔다. 그러나 우리 축산업은 시장 개방에 따른 외국산 축산물의 수입증가로 자급률은 하락하고, 수입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 거부감도 사라지고 있다.

또한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악성 가축질병, 축산환경, 동물복지 문제 등과 같은 부정적 인식의 팽배로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생산 및 유통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응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우리나라 축산업의 미래는 담보하기 어렵다. 미래가치를 담을 수 있는 과감한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
우선 우리나라 축산물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축산물 위생과 안전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축산물 일관유통체제 구축을 통한 생산·도축·가공·유통·소비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해 요소에 대한 체계적 관리와 단순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축산물 일관유통체제의 큰 틀은 ‘축산패커’ 사업이다. 따라서 ‘협동조합형 축산물 유통 패커’ 사업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농협안심’ 브랜드로 유통되는 전 축종에 대한 항생제잔류물질검사와 함께 한우 DNA 검사 및 DNA 교차중복검사, 계란의 살모넬라, 식중독, 살충제 검사 등을 통해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축산물 유통왜곡 방지와 1인 가구 시장이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한우, 한돈 상품을 ‘스킨 진공 포장’하여 유통기한을 최대 60일까지 늘렸다. 기존 냉장 판매대를 보유하고 있는 유통점, 편의점 등에 ‘스킨 진공 포장’된 축산물을 판매한다면 △유통단계 축소를 통한 축산물 가격 경쟁력 확보 △축산물 위생·안전 강화 △축산물 이력관리 및 둔갑판매 원천봉쇄 등 순기능이 기대된다.
지차수 선임기자 chas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