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후보 자격 취소→중앙대회 선관위 취소 무효화→선관위 저항

50만 재일동포의 구심점인 재일본 대한민국민단(이하 민단) 중앙본부 단장 선거 개표가 다시 연기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계속되고 있다.<세계일보 3일1일자 14면 참조>
민단 최고 의결기관인 중앙대회가 12일 개최돼 여건이(72) 현 단장과 임태수(59) 부단장이 격돌한 임기 3년의 단장 선거 개표 여부를 놓고 진통을 겪었다. 민단 선거관리위원회는 오후 2시 시작된 중앙대회에서 도전자인 임 부단장의 전력을 이유로 후보 등록 취소를 보고해 파란을 예고했다.
중앙대회 임시 의장단은 이에 선관위의 임 부단장 후보 등록 취소를 무효화하고 개표를 선언했으나, 이번에는 선관위가 의장단 결정에 근거가 없다며 저항해 대치가 장기화했다. 결국 조용제 부의장이 오후 5시쯤 대회 무기 연기를 선언했다.
민단은 지난달 26일 중앙대회에서 신임 단장을 선출할 예정이었으나 선관위가 임 부단장의 후보 자격을 거론하며 개표를 이날로 연기했다.이번 선거는 코로나19 탓에 지방 방문 유세가 금지된 상황에서 선거관리가 어렵다는 이유로 후보자 홈페이지 개설마저 불허되는 등 불공평 논란 속에 진행된 오점을 남겼다. 특히 유달리 후보 과거 전력이 선거 쟁점화되면서 진흙탕 싸움으로 변질됐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민단(2016년 기준)에 따르면 재일동포는 48만5000여명으로 추정되며, 이 중 민단 회원은 32만6000명가량이다. 우리 정부는 재외동포재단을 통해 올해 사업비 명목으로 민단과 관련 단체에 80억여원을 지원한다.
여 후보는 재일한국청년상공인연합회장, 민단 탈북자지원센터 대표, 민단 중앙본부 부단장·의장을 거쳐 2018년 단독 출마해 단장을 맡고 있다. 임 후보는 민단 홋카이도지방본부 단장·상임고문을 지낸 뒤 2015년부터 민단 중앙본부 부단장으로 재직했다.

이번 선거에서 여 후보는 한·일관계 개선과 동포의 생활·권익 옹호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으며 임 후보는 민단 재정 문제의 개선, 일본 국적 동포·신규 정주자(定住者) 등 과감한 인재 등용 등을 약속했다.
도쿄=김청중 특파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