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e스포츠 ‘신한류’ 콘텐츠로 키운다

입력 : 2020-07-17 02:30:00 수정 : 2020-07-16 20:50:3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정부, 진흥정책 추진계획 발표
한식 등 서비스업 전반 확대
한국문화 축제·한류박람회 추진
지난해 일본에서 열린 K팝 콘서트의 모습. 세계일보 자료사진

정부가 대중문화에 편중된 한류 콘텐츠를 다양화하기 위해 e스포츠를 새로운 한류 콘텐츠로 집중적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한류와 연관된 산업을 소비재에서 관광, 의료 등 서비스업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한류 스타와 손잡고 마케팅에도 나선다.

정부는 16일 정부종합청사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신한류 진흥정책 추진계획’을 논의하고 발표했다.

추진계획은 신한류를 위한 3대 지원전략으로 ‘한류 콘텐츠의 다양화’, ‘한류로 연관산업 견인’, ‘지속가능한 한류 확산의 토대 형성’을 제시했다. 주요 정책과제에는 11월 예정된 제1회 한·중·일 e스포츠 대회와 e스포츠 상설 경기장 설립 등을 계기로 e스포츠를 세계적 한류 콘텐츠로 키우기로 한 점이 주목된다. 실감 콘텐츠 제작 지원과 체험 기반시설 확충을 통해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의 신한류 콘텐츠도 육성한다. 생활문화와 문화유산, 예술 분야 등으로 한류 콘텐츠를 다양화하는 과제로는 ‘해외 한식당 한국적 이미지 강화 사업’, ‘K-무형유산 국내외 한류 공연’ 등을 추진한다.

한류를 활용한 산업 경쟁력 강화 과제로는 내년에 서울 명동과 강남 등에 K뷰티 체험·홍보관을 신설하고, 한류 스타와 연계해 한국 농·식품을 홍보한다. 또한, 한류 관광 활성화를 위한 한국문화축제를 온·오프라인으로 개최하고, 한류 마케팅을 위해 부처 협력으로 한류박람회를 연 2회 개최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한류 관련 정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주재하는 민관협력 한류협력위원회를 법제화해 정부의 핵심 협업체로 지속해서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실감 콘텐츠 개발과 온라인 K팝 공연장 지원, 교육용 게임콘텐츠 개발 등의 과제는 지난 14일 발표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도 포함돼 신한류 정책은 한국판 뉴딜과 보조를 맞춰 집행된다.

박양우 문체부 장관은 “지금 한류는 갈림길에 서 있으며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 지혜로운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우리 민족의 문화예술적 잠재력과 창의력이 세계무대에서 마음껏 발휘될 수 있도록 잘 지원해 신한류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이 '사랑스러운 볼콕'
  • 조이 '사랑스러운 볼콕'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