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핀테크가 다음 금융위기 원인될까?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0-03-14 21:00:00 수정 : 2020-03-14 17:04:1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핀테크 바람이 거세다. 금융과 기술의 결합을 뜻하는 핀테크 덕에 금융소비자는 보다 편리하게 금융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앱)으로 다른 금융회사의 계좌를 자유롭게 조회·송금할 수 있는 오픈뱅킹이 대표적 예다. 핀테크는 금융소비자의 편익을 높여주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규제가 제대로 정비돼 있지 않은 탓에 핀테크발(發) 금융위기가 도래할지도 모른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낸다. 최근 개인간(P2P) 금융이 높은 연체율로 홍역을 앓고 있는 만큼, 핀테크가 촉발할 시스템 리스크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성장하는 핀테크…내실화는 ‘갸우뚱’

 

핀테크는 금융당국의 격려와 지지 아래 급속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14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2018년 말 핀테크 업체 수는 303곳으로 2017년(288곳) 대비 15곳 증가했다. P2P 금융과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자금조달 역시 지난해 6월 기준 각각 6조2000억원, 983억원으로 2017년에 비해 2배 이상 늘었다.

 

핀테크는 금융시장 참여자의 효율성을 높인다. 오픈뱅킹이 시작되고 난 뒤 금융소비자는 하나의 앱으로 모든 금융회사의 계좌를 조회 및 송금할 수 있게 됐고, 금융회사는 소비자의 타사 금융정보를 확인함으로서 전략 수립과정에서 다양한 움직임을 가질 수 있게 됐다.

 

크라우드펀딩이나 P2P금융도 마찬가지다. 사업에 필요한 초창기 자금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던 벤처기업이나, 울며 겨자먹기로 고금리 대출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중신용자들은 새로운 대출 플랫폼을 통해 합리적인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고 일자리가 늘어나는 건 덤이다.

 

문제는 해당 시장이 부실화했을 때다. 새로운 영역이다 보니 부실이 일어났을 때를 대비한 방안이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고, 부실이 어떤 식으로 일어날 지 예측하기 쉽지 않다. 오픈뱅킹을 예로 들면, 오픈뱅킹이 시행되고 난 뒤부턴 한 은행의 보안망이 뚫릴 시 고객의 모든 은행 계좌 정보가 함께 탈취될 위험이 커졌다. 정보의 공유가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동시에 위험성도 높이는 셈이다.

 

P2P금융은 핀테크가 가져다올 위험을 좀 더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최근 P2P금융업체 A사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상품에서 첫 원금손실을 냈다. 해당 상품의 원금은 102억원으로, 평균 20% 초반대의 손실률을 기록했다.

 

중소기업의 재고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내주던 P2P금융업체 B사는 치솟는 연체율로 고민에 빠졌다. 미드레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2.78%였던 B사의 연체율은 지난달 말 기준 77.79%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은 B사가 손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않고 투자금으로 돌려막기를 했다고 판단하고 이같은 사실을 검찰에 통보했다.

 

개별 P2P금융업체들이 부진을 겪자 P2P금융 전체 연체율도 덩달아 상승했다. 지난해 말 7.44%던 P2P금융 연체율은 지난달 말 8.96%로 1.52%포인트 올랐다. 연체율은 이날 기준 9.32%까지 오르며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문제는 P2P금융의 부실이 P2P금융만의 부실로 끝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금융은 거미줄처럼 얽혀 있어 한 곳의 부실이 다른 곳으로 전이될 위험이 높다. 한 금융투자업체는 B사가 부실을 겪기 전 B사에 투자하는 사모펀드를 판매했는데, B사가 부실을 겪으면서 해당 사모펀드도 상환이 연기됐다.

 

◆“핀테크가 다음 금융위기 원인될까 걱정돼”

 

전문가들은 핀테크가 다음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며 경고의 목소리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가파른 성장세에 걸맞은 위험관리체계가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제임스 블라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지난해 “핀테크 업체들은 결제시스템에 접근하고 싶어 하지만 여기에 규제가 함께 따라오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며 “핀테크가 다음 금융위기의 원천이 될까 우려된다”고 밝혔다.

 

박창균 중앙대 교수(경영학)도 2018년 발표한 ‘핀테크와 시스템 위험’ 보고서에서 핀테크가 가져올 시스템 위험을 경고했다. 그는 “핀테크의 부상은 여러 측면에서 금융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핀테크 기업들은 충격의 확산 경로로 작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박 교수는 “효율적인 규제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모니터링 체제가 필수적”이라며 “핀테크 모니터링 및 분석을 책임지는 전담 조직을 설치하고 역량을 개발하는데 자원투입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위험에 대비해 한국은행, 금감원 등은 시스템위험에 대비하고 나섰다. 한은과 금감원은 시스템위험에 중점을 두고 금융기관을 검사하고 있으며, 한은은 2018년 말 비은행 기관까지 포함하는 스트레스테스트 모형을 개발해 이를 운영하고 있다. 금감원 역시 리스크 대시보드 개발, 설명변수 확충 등을 통해 조기경보모형의 예측력을 제고시키는 데 힘 쏟고 있다.

 

이희진 기자 he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트리플에스 코토네 '예쁨 폭발'
  • 트리플에스 코토네 '예쁨 폭발'
  • 김나경 '비비와 다른 분위기'
  • 수지 '치명적인 매력'
  • 안유진 '순백의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