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삶과문화] 두레밥상과 4인용 식탁

관련이슈 오피니언 최신 , 삶과 문화

입력 : 2020-01-31 23:22:27 수정 : 2020-01-31 23:22:2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여성 영화감독의 ‘딸’ 응원하기 전 / 아버지를 ‘두레밥상’과 분리해야 / 그가 두레밥상 운운하지 않아야 / 새로운 음식문화의 버전 업 가능

우리가 ‘식탁’에서 밥을 먹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그리 오래되지 않은 일 아닐까? 지금 오육십대에 접어든 세대만 하더라도 유년기 식사 풍경의 대부분은 ‘밥상’에 둘러앉은 식구들의 모습인 경우가 많을 것이다. “모난 밥상을 볼 때마다 어머니의 둥근 밥상이 그립다”고 노래한 모 시인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음식과 관련된 이 세대의 상상력은 “식구들 모이는 날이면 어머니가 펼치시던 둥근 두레밥상”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신수정 명지대 교수 문학평론가

최근 개봉한 윤가은 감독의 ‘우리 집’과 김보라 감독의 ‘벌새’를 보면서 불현듯 이 사실을 깨달았다. 어린 여자아이들의 시선으로 가족의 일상을 되돌아보는 이 영화들의 또 다른 주인공은 ‘식탁’이었다. 무엇보다도, 4인용 식탁! 영화는 그야말로 식탁에서 시작해 식탁으로 끝난다. 우리 집의 주인공 12살 하나는 사이가 좋지 않은 부모의 관계를 개선하고 우리 집을 재건하고자 고사리 같은 손으로 요리를 하고 밥을 차리며 식구들을 식탁 주변으로 불러 모은다. 그러나 부모는 자신들의 업무에 바빠 하나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14살 은희의 시선으로 성수대교가 붕괴되던 1994년의 내밀한 시대적 공기를 재현하고 있는 벌새 역시 마찬가지다. 정글 같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맨몸으로 달려온 은희 아버지는 집안의 규율과 관련된 일련의 행위를 전부 식탁에서 행한다. 그는 아침 식탁에서 아들의 입시 경쟁을 독려하고 딸들의 규율을 감시하며 아내의 욕망을 제지한다. 그는 식탁의 군주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두레밥상을 그리워하는 시인의 목소리가 전형적인 남성의 것이라면 4인용 식탁에서의 고독과 답답함을 토로하는 영화감독들의 시선은 지극히 여성적으로 재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로부터 세대와 젠더를 가로지르는 하나의 계보를 생각해볼 수도 있겠다. 어쩌면 어머니가 펼쳐놓은 두레밥상에 둘러앉아 제비새끼처럼 짹짹거리며 어머니의 음식을 탐하던 날의 기억을 소환하는 남성 시인은 식탁에 둘러앉을 때면 늘 엄습해오던 외로움과 감시의 시선에 짓눌린 여성 영화감독들의 아버지(가부장)일 수도 있겠다.

오, 아버지! 대가족이 둘러앉은 두레밥상으로부터 4인용 식탁으로 진화해간 우리의 문명은 아버지의 상실감과 분노, 그리고 제왕적 고독의 승화과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버지는 어머니의 밥상이 제공하는 정서적 유대의 세계를 영원히 잊지 못한다. 그를 키운 팔 할은 어머니의 나눔에서 온 것임을 그도 모르지 않는다. 그 역시 어머니가 그러했던 것처럼 자신의 아이들에게 더 많은 밥, 더 맛있는 밥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러면 그럴수록 그의 식탁은 어머니의 둥근 밥상의 세계로부터 멀어진다. 그는 이 상실을 이해할 수 없다. 그가 점점 더 다급해지고 폭력적으로 돌변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여성 영화감독의 딸들 이야기에서 그토록 많은 식탁 장면이 등장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여기에 있지 않을까. 어쩌면 그녀들은 ‘아버지의 4인용 식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 어떤 새로운 가능성도 없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깨닫게 된 첫 세대 같기도 하다.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던 김밥을 말고 도시락을 싸던 12살 하나가 친구 자매와 밥을 지어먹으며 외로운 여름방학을 견뎌낼 수 있었던 것도, 14살 은희가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일깨워준 영지 선생님을 영원히 잊지 않을 수 있었던 것도 모두 이 식탁 너머의 세계를 꿈꾼 덕분이기도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딸들의 꿈은 인류의 미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생각도 든다. 사정이 그러하다면, 정작 지금 여기서 가장 시급한 작업은 딸들을 응원하기 이전에 아버지들을 ‘어머니의 두레밥상’으로부터 떼어놓는 일인지도 모르겠다. 아버지들이 더 이상 어머니의 두레밥상 운운하지 않는 순간, 새로운 음식 문화의 버전 업도 가능해질 것 같다. 명절 연휴 삼시 오끼의 음식을 차려본 자의 뒤늦은 각성이다, 나무아미타불, 아멘!

 

신수정 명지대 교수 문학평론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