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북·미 정상 다음 만남은 언제… “실무협상이 관건”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정상회담 , 킬러콘텐츠

입력 : 2019-07-01 15:10:48 수정 : 2019-07-01 15:10:50

인쇄 메일 url 공유 - +

폼페이오 "2~3주 내 실무팀 구성, 협상 착수" / 하노이 회담 결렬로 공식회담 부담 / 유엔총회·노동절 등에 일정 맞출 가능성 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30일 오후 판문점 군사분계선 북측 지역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미 정상의 다음 만남이 연내 실현될 수 있을지는 실무협상 진전 속도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주도로 2∼3주 내 실무팀을 구성, 협상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하노이 핵담판 결렬 이후 서로에게 양보를 요구하며 평행선을 그려온 북·미가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희망한다면 언제든 백악관을 방문할 수 있다고 했지만 하노이 회담이 한 차례 결렬된 만큼 성과가 담보되지 않는 공식회담은 트럼프 대통령도 김 위원장도 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김 위원장의 방미는 북한을 정상국가로 인정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확실한 비핵화 조치를 견인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지 않는다면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부담이다.

 

실무협상에서 이견을 좁힐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북·미 정상회담의 예상 시점은 8, 9월이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날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8월 중순을 전후해 4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역시 통일부 장관을 지낸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도 다음 정상회담에 대해 “올해 안에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8, 9월 정도가 아마 시점 아닐까”라고 전망했다. 이들이 2, 3개월 내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전망하는 것은 전날 50여분간의 회동 시간이 짧지 않고, 사실상 3차 북·미 정상회담을 대체하는 만남이었다는 판단에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판문점 남측 자유의 집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동을 마친 뒤 문재인 대통령 등과 함께 군사분계선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정으로 보면 북한으로서인 정권수립기념일(9·9절), 추석, 유엔총회, 노동당 창건일(10월10일)이나 인접 날짜에 맞춰 성과를 내는 것이 선전 효과가 크다. 제재가 해제되지 않더라도 유엔총회에서 북한 비핵화의 성과를 과시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면 제재 해제로 가는 길에 도움이 된다. 미국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대선 모드로 변하는 기점으로 일컬어지는 노동절(9월2일) 전에 북핵 협상을 일단락 지을 필요가 있다.

 

하지만 결국 모든 것은 실무협상에서 미국과 북한이 비핵화의 정의, 로드맵에 합의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실무협상을 하기로 한 것이 진전이며, 다른 것은 실무협상을 해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홍주형 기자 jh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