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고] ‘2030년 결핵퇴치’ 국가·국제적 협력 필요

관련이슈 기고

입력 : 2018-10-04 21:23:01 수정 : 2018-10-04 21:23:0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결핵은 수천 년 동안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으로 존재해 왔다. 1800년대 말까지도 유럽 국가의 대표적인 사망 원인 중 하나가 결핵이었다. 이후 경제 발전과 공중위생 개선, 치료제와 예방 백신의 개발로 이제는 많은 나라에서 결핵은 ‘과거의 질병’으로 취급되곤 하지만, 여전히 전 세계 10대 사망 원인에 포함된다. 2017년 한 해에만 전 세계에서 약 1000만명이 결핵에 걸리고, 160만명이 결핵으로 사망했다. 여전히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공중보건상의 문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얼마 전 유엔은 역사상 처음으로 결핵에 관한 고위급회담을 개최했다. 이 회의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123개국의 정부 대표가 참석해 유엔의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s)에 따라 2030년까지 전 세계에서 결핵 유행을 종식시키기 위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참석자들은 결핵 발병으로 인한 개인의 고통과 국가 사회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 세계적인 공조와 보다 적극적인 투자가 시급하다고 한목소리로 강조했다. 이에 따라 유엔 회원국은 2030년까지 결핵을 퇴치하기 위한 국가적, 국제적 차원의 행동과 투자가 필요하다는 선언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세계보건기구의 테드로스 아드하놈 사무총장은 “이 회의는 결핵과의 긴 전쟁에서 획기적인 사건”이라고 말했다. 선언문을 통해 각국은 결핵 예방 및 관리를 강화하고, 결핵 환자 등에 대한 보편적 건강 보장을 확대하며, 특히 환자 개인의 건강뿐 아니라 공중보건상 위협이 큰 다제내성 결핵의 진단과 치료율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 등의 투자를 늘려가기로 했다. 또한 결핵 퇴치를 위해서는 각국 정부와 시민사회, 국제기구 등 다양한 이해 당사자가 함께 협력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우리나라는 비록 결핵환자 발생 건수가 매년 감소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다. 2016년 OECD 가입국 35개국의 인구 10만명당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은 각각 11.7명, 1.0명인데 우리나라는 각각 77명, 5.2명으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결핵 후진국이라는 불명예를 벗기 위해 정부는 8월 ‘제2기 결핵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2022년까지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을 2016년(인구 10만 명 당 77명) 대비 절반 수준인 인구 10만명 당 40명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유엔선언을 계기로 목표를 조기에 달성하고 2030년 이전에 결핵을 퇴치하기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다. 아울러 유엔의 2030년 결핵 퇴치 목표를 달성하려는 노력에도 적극 동참해 나갈 것이다.

결핵 퇴치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민들의 건강한 생활양식, 혁신적인 진단기술, 치료약, 백신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번 유엔 회의에서도 최근 개발 중인 백신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에 많은 관심이 집중됐다. 우리 정부도 다양한 결핵 신약 후보군 개발을 지원하고, 차세대 결핵백신 등의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저소득·노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결핵검진 및 지역사회기반 결핵관리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결핵 퇴치를 위해서는 정부와 의료진의 노력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이 결핵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결핵 검진과 기침예절 등 예방 실천에도 적극 참여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과거 천연두를 퇴치한 것처럼 결핵 퇴치도 가능하다. 우리 모두가 힘을 합하고 함께 노력하자.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