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건설업 산재 33% '추락'… 안전망 키운다

입력 : 2018-07-24 21:49:57 수정 : 2018-07-24 21:49:5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비용 아끼려 가설 구조물 부실시공 / 최근 당진 사고도 볼트불량 드러나 / 안전보건공단, 예산 38억원 늘려 / 사전제작 구조물 보급률 높이고 / 중소 공사장엔 설치비 2000만원
#1. 지난 4월 시설관리 용역업체 직원인 A씨는 건물 외부 화단 시멘트 보수 및 마무리 작업을 하다 균형을 잃고 약 4m 아래로 떨어져 숨졌다. 추락 위험이 높은데도 작업현장에 안전난간은 없었다. A씨는 개인보호장구도 착용하지 않았다.

#2. 지난해 8월 포항의 한 중학교 신축공사 현장에 지상 16.6m 높이로 설치된 비계(공사장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한 가설물)가 무너져내렸다. 이 사고로 근로자 B씨가 깔려 숨졌다. 벽이음과 버팀 설치 등 비계 조립 시 준수 사항을 제대로 지키지 않아 벌어진 일이었다.

건설현장 산업재해 중 ‘떨어짐’(추락)에 따른 사망 사고가 줄지 않고 있다. 정부가 이 같은 건설현장 사망사고 원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추락재해를 줄이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24일 안전보건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현장의 산업재해자는 총 2만5649명에 이른다. 사고 유형별로 추락 재해자가 8608명(33.6%)으로 가장 많았다. 근로자 3명 중 1명꼴로 추락사고를 당한 것이다. 지난해 건설현장 전체 사망자(579명)의 48.0%(276명)도 추락사고였다.

전체 추락 재해자 1만4308명의 60.2%가 건설업종에서 일하는 사람이었다. 추락 재해의 86.5%(7445명)가 공사비 120억원 미만의 중소규모 현장에서 발생할 정도로 공사 규모가 작을수록 추락 사고가 많았다.

건설현장 근로자들은 가설 구조물인 비계를 추락 재해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는다. 비계는 파이프와 발판, 안전난간으로 구성되는데 소규모 공사현장에서는 비용 절감을 이유로 파이프만 설치하거나 규격에 맞지 않는 제품을 쓰는 탓에 사고가 빈번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건설현장 사망재해의 26.0%(73건)도 비계를 설치해야 하는 곳에서 일어났다.

안전보건공단은 지난해 기준 16.7%에 불과한 ‘시스템비계’ 보급률을 2022년까지 60.0%로 높일 계획이다. 시스템비계는 근로자들이 현장에서 만드는 게 아니라 사전제작 후 현장에 일괄 설치하는 형태로 기존 비계보다 안전하다.

공단은 ‘시스템비계 클린사업’을 통해 안전관리가 취약한 중소규모 건설현장(20억원 미만)에 추락방지시설 설치비용을 최대 2000만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또 불량 작업 발판 근절을 위해 올해 말까지 건설현장 2000개소를 대상으로 집중 기술지도를 실시한다. 정부는 2022년까지 비계 관련 추락 사고 사망자 수를 80.0% 감축하기로 했다. 공단 관계자는 “시스템 비계 보급과 확산을 위해 기존 200억원인 예산을 238억원으로 늘렸다”며 “내년 지원예산을 350억원까지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5월19일 근로자 4명이 희생된 대전∼당진고속도로 교각 점검 통로 추락사고도 앵커볼트 시공 불량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감정 결과 교각과 점검 통로를 고정해 주던 앵커볼트 8개가 빠진 사실이 확인됐다. 일부 앵커볼트는 설계상 길이가 120㎜임에도 90㎜에 불과한 점도 파악했다.

남혜정 기자 hjn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