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기자와 만납시다] 실질적 권한 막강한 '교육 소통령'…'우리 아이들 교육 좌우' 인식 확산

관련이슈 2018.6.13 지방선거

입력 : 2018-06-09 08:00:00 수정 : 2018-06-08 19:23:3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교육감 선거, 학부모 관심 고조
서울시교육감 후보들이 지난 4일 서울 상암동 MBC에서 6·13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자 TV 토론회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희연, 박선영, 조영달 후보.
연합뉴스
6·13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부모들의 관심이 누구를 교육감으로 뽑을지에 쏠리는 분위기가 곳곳에서 관찰된다.

교육 관련 예산안을 편성하고 조례안을 작성하며, 각종 규칙을 제정하고 학교를 비롯한 기타 교육기관의 설치 이전 및 폐지 등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는 등 전반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것들을 맡고 있어서 ‘우리 아이’의 교육이 교육감에게 달려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라는 것이 이유다. 교육부 장관보다 교육감의 권한이 훨씬 크다는 말도 교육계에서 나온 지 오래다.

최근 어느 지자체의 교육감 후보 토론회를 지켜보면서 A씨는 자신이 활동하는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다른 부모들의 토론회 시청을 권유했다.

A씨는 “우리 아이들의 교육정책을 제대로 펴려면 교육감이 누구인지가 진짜 중요한 것 같다”며 “교육감이 어떻게 정책을 정하냐에 따라 아이들의 교육환경이나 방향 등이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집으로 배달 온 공보물이 있지만, 글자로 그들의 생각을 살펴보는 것보다 직접 말 한마디라도 더 듣고 눈빛을 읽어야 속에 담긴 마음이 어떤지를 그나마 잘 알 수 있다면서 A씨는 시청 권유 이유를 설명했다.

고등학생 아들을 둔 B씨는 ‘입시’가 집안 이야기가 되면서 교육감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B씨는 “대학입시제도를 두고 여러 말들이 최근 많지 않았느냐”며 “누구를 교육감으로 뽑아야 아이의 입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생각해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선거에서 뽑은 교육감에 적잖이 실망했다는 그는 “후보가 정치적으로 어떤 성향을 띠는지를 떠나 오로지 학생 교육 관련 공약만 보고 한 표를 던지겠다”고 덧붙였다.

교육감은 정당에 속하지 않는다. 교육의 중립성을 강조하는 헌법에 따라 정당 공천이 없어서다.

그 대신 교육감 후보가 진보나 보수 중 어느 성향인지를 알 수 있어서 해당 정보를 공유하는 학부모의 글들이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오고 있다. 내가 관심 있는 교육감 후보가 어느 쪽에 가까운지 학부모들도 알고 싶은 것으로 보인다.

선거철 사회 분위기나 여러 정치적 사안이 교육감 선택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도 있다.

첫 교육감 선거가 치러진 2010년에는 ‘무상급식’, 2014년에는 세월호 참사에 따른 ‘학생 안전’이 선거 전체 판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이야기가 수없이 들렸다. 이번 선거를 앞두고 많은 후보가 무상교육과 무상급식, 교복비용 지원 등을 공통으로 내건 가운데 후보의 역량이나 교육 정책보다 외부 이슈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일각에서 나온다.

후보의 도덕성도 학부모들의 관심을 끄는 요소 중 하나다.

지난 선거에서 자신이 뽑은 후보가 교육감이 되었지만 형사처벌을 받았다면서 C씨는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모르겠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후보의 공약이나 정책도 중요하지만, 개인의 도덕성도 눈여겨봐야 할 것”이라며 “아쉽게도 그런 것들은 객관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니 누가 어떤 문제를 일으킬지는 알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지금까지 직선제를 거쳐 뽑힌 교육감 후보는 총 34명이었다. 이 중 13명이 형사처벌을 받았다. 38.2%니 10명 중 4명꼴이다. 교육감을 정의하면서 ‘덕망이 높고…’라는 표현을 쓴 어느 교육학 용어 사전의 문장이 보는 이를 민망하게 한다. 교육감 후보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표를 던져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은 교육감 선거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11일과 12일에 걸쳐 진행된 여론조사(KBS·한국일보·한국리서치 공동 진행)에서 서울 교육감으로 누가 적당한지 모르겠다는 응답자가 41.9%로 나타났다. 선거를 앞두고도 누가 후보인지조차 모르는 유권자가 수두룩한 셈이다. 조사는 서울, 부산, 인천, 경기, 충남, 경남 등 총 6개 지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전화면접조사 방식이며, 지역별로 800명씩 응답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