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비핵화와 보상 방식과 관련해 ‘트럼프 모델’을 제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가진 기자들과의 일문일답에서 “확실히 일괄타결(all in one)이라면 좋을 것”이라며 일괄타결에 대한 선호를 재확인했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22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인 오벌오피스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을 시작하기에 앞서 취재진 앞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정상회담에서는 예정에 없던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지면서 즉석에서 기자회견과 같은 분위기가 연출됐다. |
트럼프 대통령은 또 “(비핵화 시 북한 체제 안전을) 보장하겠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안전할 것이고, 기쁠 것이다. 또 북한은 굉장히 번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CVID)를 이행한다면 체제 보장과 경제 지원을 담보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 |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2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확대오찬회담을 하고 있다. |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북·미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북한의 의지를 의심할 필요가 없다”며 “북·미 간에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비핵화와 체제 안정에 대한 협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비난한 맥스선더 한·미 연합 공중훈련 종료일인 25일 이후 남북 고위급회담을 비롯한 대화가 재개될 것으로 내다봤다.
![]() |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후(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열린 단독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하고 있다. |
김재천 서강대 국제정치학 교수는 북·미 간 비핵화 일괄타결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비핵화 발언은) 비핵화가 완전히 완료되기 전인 초기·중기 단계에서도 북한에 체제 보장을 비롯한 보상을 해줄 수 있다는 의미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최강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도 “리비아 때도 그랬듯, 합의는 일괄타결 방식으로 이뤄져도 이행은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워싱턴=박성준 기자·국기연 특파원, 김민서·엄형준 기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