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뉴스+] 미·중 '치킨게임'… 强(강)대强(강) 충돌에 세계경제 '먹구름'

입력 : 2018-04-04 18:39:14 수정 : 2018-04-04 22:01:0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USTR, ‘중국제조 2025’에 고율관세…시진핑 추진 제조업 육성정책 정조준 / 中 “악랄한 행위에 대등한 규모 보복” / 상무부, WTO 분쟁 해결 절차 개시 / 美 대두·자동차·항공기 등 큰 타격 / 일각 “美·中 파국 피하려 협상” 관측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전면전으로 치닫고 있다. 공격과 맞불 대응이 반복되는 양상이다.

미 무역대표부(USTR)는 3일(현지시간) 중국산 수입품 1300개 품목에 대한 ‘관세 폭탄’(고율 관세) 방침을 내놓았다. 중국도 한 시간 만에 외교부와 상무부, 주미 대사관이 일제히 담화를 발표한 데 이어 4일 미국산 대두(콩), 자동차 등 106개 품목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맞불’을 놨다. 미·중 간 무역전쟁의 포연 속에 세계 경제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USTR가 발표한 고율관세 부과 품목엔 중국의 ‘중국제조 2025’에 있는 분야가 상당수 포함됐다. ‘중국제조 2025’는 중국이 유럽과 미국 첨단산업을 따라잡기 위해 추진 중인 10대 핵심산업 육성 프로젝트다. 반도체, LED(발광다이오드) 등과 함께 바이오신약 기술, 산업로봇, 통신장비, 항공우주 등 중국이 육성 대상으로 삼은 10대 산업이 포함됐다. 미국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야심차게 추진 중인 제조업 육성 정책을 정조준해 시 주석을 괴롭히는 동시에 중국의 미래 첨단산업 발전동력도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중국은 미국의 이번 조치가 대중 무역 불균형을 시정하려는 것뿐만 아니라 미래 중국을 이끌어 갈 첨단산업 분야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려는 의도가 있다고 보고 있다. 철저한 맞대응이 불가피하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중국 정부와 관영매체는 “철저히 보복할 것”이라며 항전 의지를 내보이고 있다.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직접 겨냥한 보복조치 카드를 꺼내들었다.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층이 생산하는 농축산물을 보복 대상으로 삼았다. 중국은 지난 2일 돈육, 과일 등 미국산 수입품 128개 품목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지난 대통령 선거 때 공화당의 트럼프 후보를 지지한 ‘팜 벨트’(농장지대) 주(州)에서 생산되는 품목이다.

이어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가 이날 미국산 대두, 자동차, 항공기 등 106개 품목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고 상무부도 세계무역기구(WTO) 분쟁해결 절차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대두의 경우 중국은 미국 전체 생산량의 3분의 1을 수입한다. 지난해 미국산 대두 3200여t을 수입했는데 140억달러(약 14조8750억원)어치에 달한다. 자동차도 지난해 미국으로부터 100억달러(약 11조원)어치를 수입해 캐나다에 이어 2위였다. 지난해 보잉의 전 세계 항공기 인도량의 26%(202대)가 중국에 몰렸으며, 향후 20년간 7240대, 1조1000억달러(약 1200조원)어치가 중국에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충분히 성의를 보였고 많은 일을 했지만 미국이 또다시 절호의 기회를 놓쳤다. 반드시 쓴맛을 보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보복엔 보복 미국이 3일(현지시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 방침을 공식화하고 중국이 즉각 보복조치를 발표하면서 양국 간 무역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왼쪽 사진)은 이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오른쪽 사진)을 “대단히 존경한다”면서도 “우리는 무역적자를 완화하기 위해 무엇인가를 해야 한다”며 중국을 압박했다.
워싱턴=AP연합뉴스, 세계일보자료사진
양측 간 협상의 여지도 있다. 이날 미국이 발표한 품목의 관세 발효일은 5월 이후가 될 전망이다.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 공청회를 거쳐야 한다. 중국도 대두, 자동차 등에 대한 25% 보복관세 부과 시행일을 추후 공지하겠다고 했다. 양측이 모두 협상의 가능성을 남겨둔 셈이다. 특히 미·중 양측의 타깃이 서로 상대국의 약점을 파고든 만큼 파국을 피하기 위한 협상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미국은 시 주석의 관심 영역인 첨단 업종과 제조업 분야를 겨냥했고,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기반을 파고들었다는 것이다. 미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이나 시 주석 모두 상대에게 치명상을 입혀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워싱턴·베이징=박종현·이우승 특파원 bali@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