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수도원 성화속에 숨겨진 이야기

입력 : 2018-03-28 00:32:20 수정 : 2018-03-28 00:32:1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조성암 암브로시오스 한국 정교회 대주교, ‘비잔틴 성화…’ 펴내 “성화를 읽을 줄 아십니까?”

1980년 여름, 유학생이던 조성암 암브로시오스 한국 정교회 대주교는 이집트의 시나이 수도원에서 성화(聖畵)를 감상하다 한 수도사에게 이런 질문을 받았다. 그는 “책이 아닌데 어떻게 읽을 수 있냐”고 되물었고, 수도사는 “모든 성화는 하나의 펼쳐진 책과 같아서 상징적 언어를 알면 읽을 수 있다”고 대답했다. 수도사와의 대화는 ‘비잔틴 성화 영성 예술’(전2권)이라는 제목의 책으로 후일 결실을 맺었다.

조 대주교는 책에서 “성화에 담긴 신학을 이해하려면, 작가 정교회의 교리적 가르침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징언어를 필수적으로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것이 “우리를 지금 이 지상에서 천상으로 이끄는” 것을 목표로 하는 성화를 이해하는 조건인 셈이다. 

가장 오래된 그리스도 성화는 이집트 시나이 수도원에 보관되어 있는 6세기 중반의 작품이다. 조성암 암브로시오스 한국 정교회 대주교는 이 성화에서 두 눈을 달리 표현해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드러냈다고 분석했다.
정교회출판사 제공
◆“보이지 않는 하느님을 표상하는 건 올바른가”

이제는 “성경, 교회, 그리스도, 성령 등 다소 까다로울 수도 있는 교회의 가르침을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시각적 자료로”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고, 세계미술사의 뚜렷한 한 장면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에서 성화의 존립 여부를 두고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고, 그것이 ‘성화파괴’로까지 이어진 시절이 있었다는 사실은 선뜻 믿기 어렵다. 그것은 “그리스도교의 신학적 관점에서 볼 때, 보이지 않는 하느님을 표상하는 것은 과연 올바른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견해 차이에서 비롯됐다.

성화파괴자들은 “형체가 없는 하느님을 형상으로 표현해선 안 된다”는 구약의 계명, “나(하느님)의 얼굴만은 보지 못한다”는 출애굽기의 구절 등을 근거로 성화를 인정하려 들지 않았다. 이런 주장은 726∼787년, 815∼848년 두 차례의 성화파괴 시대로 이어졌다.

성화옹호자들 역시 “하느님을 본 사람은 없다”는 점은 인정했다. 그러나 성 요한은 “아버지의 품 안에 계신 외아들로서 하느님과 똑같으신 그분이 하느님을 알려주셨다”고 말했다. 성자는 곧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형상”이라는 인식이다. “나를 보는 사람은 나를 보내신 분도 보는 것”이라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에서 성화의 존재 근거는 확실해진다.

조 대주교는 “787년 제7차 세계 공의회는 성화에 흠숭(예배)이 아니라 공경과 경의를 드려야 한다고 분명하게 결정했고, 이 결정은 교리가 되었으며, 모든 정교 그리스도인은 그때부터 지금까지 이 교리를 믿어왔다”고 소개했다. 공의회는 “성화에 묘사된 형상과 복음경에 이야기로 기록된 내용은 완전히 일치한다”고 결정했다. 

성모 희보 성화는 마리아가 가브리엘 천사로부터 예수를 성령으로 잉태할 것이라는 소식을 듣는 장면을 표현한 것이다.
정교회출판사 제공
◆두 눈으로 표현된 신성과 인성

그렇다면 교회는 성화에 어떤 메시지를 담았을까. 그것의 가장 뚜렷한 사례는 그리스도 성화일 것이다. 조 대주교는 ‘가장 오래된 그리스도 성화’를 책머리에서 설명한다.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그리스도 성화는 시나이의 수도원에서 보관 중인 6세기 중반의 것이다. 조 대주교가 이 그림에서 특히 주목하는 것이 “아몬드 모양의 인상적이고 커다란 두 눈”이다. 그는 “두 눈의 차이를 통해 성화 작가는 그리스도의 두 본성(신성과 인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엄격한 시선을 한 왼쪽 눈은 끝이 약간 위로 올라간 눈썹과 짝을 이뤄 “‘완전한 하느님’으로서의 신-인(神-人) 예수”를 드러낸다. 그리스도는 “율법을 정하고 심판하시는 유일한 분”으로 사람들의 행실을 심판한다. 반면 오른쪽 눈은 평온하다. 이 눈을 통해 “‘완전한 인간’으로서의 신-인 예수를 나타내고” 있으니 “그분은 우리의 죄뿐 아니라 온 세상의 죄를 용서해 주시려고 제물이 되신 분이시고, 인간 구원을 위해 이 땅에 오셔서 거룩한 피를 흘리신 분”이다.

비잔틴 정교회 성당의 돔을 장식하는 ‘만물의 주관자’(판토크라토르)에서도 눈은 성화를 읽는 포인트다. 만물의 주관자에서 창조주, 구원자, 심판자로서의 성격이 드러나는데 “만물을 보실 수 있는 주님의 눈빛은 강하게 표현된다. 그 눈빛은 또한 땅을 향하고 있는데, 이것은 주님이 세상을 지배하고 섭리로 만물을 보호해 주신다는 의미”이다.

조 대주교는 “만물의 주관자 성화는 우리가 ‘권세와 세력의 악신들과 암흑세계의 지배자들과 하늘의 악령들’에 대항하여 싸울 때 하느님은 우리 곁에 함께 하시는 동반자요 동맹이심을 우리에게 가르쳐 준다”고 적었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