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특파원+] 트럼프의 7가지 대북 군사옵션은

관련이슈 특파원+ , 디지털기획

입력 : 2017-10-31 14:10:52 수정 : 2017-10-31 14:10:5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문제 해결을 위한 대북 군사 옵션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화 또는 제재가 아닌 군사적인 방법으로 북한 문제를 해결하려 할 경우에 그 앞에 7가지 선택 방안이 놓여 있다고 미국 의회 조사국(CRS)이 30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CRS는 미국의 상·하 의원들에게 전달한 ‘북핵의 도전, 군사 옵션과 의회 관련 쟁점들’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군사적인 현상 유지 △봉쇄와 억지력 강화 △미국을 위협할 수 있는 북한의 운반 시스템 획득 차단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설과 발사대 제거 △북한 핵시설 제거 △북한 정권 교체 △주한 미군 철수 등 7가지 시나리오를 소개했다. CRS는 한국과 미국이 한반도 비핵화 목표를 달성하려면 이 7가지 선택 방안 중에서 몇 가지를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군사적인 현상 유지

이것은 미국이 지난 2009년부터 2016까지 유지했던 대북 정책으로 ‘전략적 인내’라고 불리는 방안이다. 전략적 인내 정책은 북한이 비핵화 논의를 위한 대화 테이블로 나오도록 대북 독자 및 다자 제재를 강화하는 것이다. 미국은 이때 한국 및 일본 등 동맹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면서 중국이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하도록 설득하는 노력을 병행한다. 트럼프 정부는 전략적 인내 정책이 실패했다고 비판했으나 미국의 현재 대북 정책은 이와 유사하다.

이 방안은 군사적 충돌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그러나 그사이에 북한이 핵탄두 장착 ICBM 개발을 완결하고, 이에 대응해 한국과 일본이 독자적인 핵무장을 추진해 아시아에서 새로운 군비 확대 경쟁이 벌어지고, 우발적 충돌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군 수뇌부 회의에서 북한의 핵 위협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왼쪽은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
워싱턴=AFP연합뉴스
▲봉쇄와 억지력 강화


미국이 단순히 군사적으로 현상 유지에 머물지 않고, 북한을 통제하고, 억제하기 위한 군사력 증강에 나설 수 있다. 북한이 핵 개발에 따른 대가를 치르도록 미국이 북한을 겨냥해 군사력을 증강하고, 이를 전진 배치함으로써 북한에 군사적 압박을 가하는 것이다. 미국이 한반도와 인근 지역 주둔 병력을 증강하고, 군사 장비를 사전에 배치하며 방어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주한 미군의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가 이런 대책의 일부이다. 미국은 한반도에 즉각 투입할 수 있도록 인근 지역에 해군과 공군의 장비와 무기를 사전에 배치한다. 미 지상군을 한국에 증파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미 연합 군사 훈련을 강화하면서 북한의 대량파괴무기(WMD)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감시 및 북한 선박 정선 등의 봉쇄 활동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이 이를 북한 공격의 서막으로 받아들이거나 아예 이를 무시할 수도 있다.

▲북한의 운반 시스템 획득 차단


이 옵션은 북한의 비핵화를 일단 유보한 채 북한이 핵탄두 장착 ICBM을 실제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미국은 북한이 ICBM 기술을 완벽하게 습득하지 못하도록 북한이 탄도 미사일 시험을 하면 이를 요격할 수 있다. 미국은 탄도미사일방어(BMD)를 강화하고, 해상 배치 이지스 BMD 체계를 강화한다.

그러나 미국의 이지스 BMD 시스템은 좁은 해역을 커버하는 한계가 있고, 북한의 미사일을 요격하는 데 실패할 위험이 있다. 또 북한이 이에 반발해 군사적인 대응으로 맞서 충돌이 벌어질 수 있다.

▲ICBM 시설과 발사대 제거

미국이 제한적 공습을 통해 북한의 ICBM 시설 등을 폭격하는 옵션이 있을 수 있다. 현재 북한의 ICBM 발사 기지가 고정돼 있으나 북한이 고체 연료를 사용하면 이동식 발사 시스템을 갖추게 돼 이를 타격하기가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북한의 기술이 발달하기 전에 미국이 서둘러 현재의 ICBM 시설과 발사대 등을 폭파할 수 있다. 미국은 폭격기 등을 동원해 공습하거나 크루즈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은 미국의 공격을 당한 뒤에 역습을 감행할 수 있고, 핵무기 및 ICBM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다. 

▲북한 핵 시설 제거


북한의 핵 시설을 폭격하려면 미사일 기지를 제거할 때보다 광범위한 군사 작전을 전개해야 한다. 핵물질 생산 시설, 핵폭탄, 핵탄두, 핵무기 운반 시스템을 모두 제거 대상으로 삼아야 하기 때문이다. 북한의 복합 핵 단지, 우라늄 광산 및 농축 시설, 핵연료 재처리 시설, 연구 단지 등이 모두 폭격 대상이 돼야 한다. 미국은 이를 위해 공습 작전을 하거나 크루즈 미사일 등을 발사할 수 있고, 미군 특수부대 투입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북한의 핵 시설이나 핵폭탄을 전부 찾아내기 어려워 이 옵션으로 북한의 핵 능력을 무력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북한의 핵 시설이나 핵폭탄 폭격에 따른 방사능 유출 사고 등이 날 수 있다. 또 북한이 한국 등을 겨냥해 파괴되지 않은 핵무기로 역공할 수 있다.

김정은 조선노동당 위원장(오른쪽)이 지난 9월 15일 중거리탄도미사일(IRBM) 화성-12 발사를 현지 지도한 현장에서 하늘로 솟아오르는 미사일을 보는 사진을 조선중앙통신이 16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북한 정권 교체


북한에서 정권 교체가 이뤄지도록 하려면 광범위한 대북 군사 작전이 불가피하다. 북한의 핵 시설뿐 아니라 지휘 통제센터, 북한의 핵심 지도부, 장사정포 및 미사일 시설, 생화학무기 시설, 공항, 항만 등 북한 정권 유지에 필요한 주요 시설을 폭격해야 한다. 이 옵션은 사실상 한반도에서 전면전에 나서는 것이며 인근 지역으로의 확전을 감수해야 한다.

미국이 전면전 준비를 하면 북한이 이를 눈치챌 가능성이 크고, 북한이 선제공격에 나설 수 있다. 또한 북한에서 정권 교체가 이뤄질 정도로 타격을 입히려면 지상군 투입이 불가피하다. 미국이 현재 이라크,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등에 투입돼 있어 필요한 병력을 한반도에 파견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주한 미군 철수

북한이 미국을 위협 요소로 보는 이유는 주한 및 주일 미군 주둔 때문이다.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단행하는 조건으로 주한 미군 철수를 고려할 수 있다. 이는 한·미 군사 동맹 체제의 와해를 의미한다. 미군은 다만 한국 이외의 지역에 주둔하면서 한국에 위기가 발생했을 때 지원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과거 행태로 볼 때 북한의 비핵화 약속을 믿을 수가 없다. 미군이 한국에서 철수하면 북한이 남북한 통일을 위한 무력 도발을 할 위험성이 커지는 것도 문제이다. 주한 미군이 철수하면 한국과 일본이 독자적인 핵무기 개발에 나설 수도 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