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다.” 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에 한 말이다. 또 와글와글한다. 대통령이 못을 박았으니 건국의 해는 1919년으로 결정난 걸까. 그럴 턱이 없다. 안 하느니만 못한 말이다. 너와 나를 가르는 벽 하나를 또 만들어 놓았으니.

건국 논쟁. 한심한 싸움이다. 사리를 따져 보자. 1919년 4월 13일 상해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했다. 3·1독립운동은 이보다 빠르다. 1919년 3월 1일부터 시작됐다. 1910년 한일병탄 직후 많은 애국지사는 만주로 떠났다. 독립투쟁에 몸을 던졌다. 모든 사람의 생각이 똑같았다. “나라를 되찾겠다”고.

건국(建國). ‘나라를 세운다’는 뜻이다. 임시정부 수립 이전에 되찾고자 한 나라는 어떤 나라인가. 임시정부 수립을 나라를 세운 기준점으로 삼는다면 3·1독립운동·만주 독립투쟁 때 세워지지도 않은 나라를 되찾겠다고 한 걸까. 목숨을 던져 되찾고자 한 나라는 ‘우리나라’다. 조선~대한제국~대한민국을 하나의 역사, 하나의 조국으로 보는 생각이다. 단군 조선 이후 5000년, 삼국통일로부터 계산해도 1349년에 이르는 나라의 역사. 그것이 되찾고자 한 ‘우리나라’의 실체다.

건국 논쟁에는 이념적 이해가 깔려 있다. 계급주의 사관으로 과거의 역사와 대한민국을 가르고, 일제강점기 좌파세력을 정통에서 배제하려는 생각. 조선과 대한민국의 차이는? 정체(政體)만 달리할 뿐이다. 상해임시정부의 ‘임시’라는 말에는 무슨 뜻이 담겼을까. 국민 주권 영토를 갖춘 온전한 국가 형태를 이루지 못했기에 붙는 말이다. 온전한 형태를 갖춘 것은 1948년이다. 그렇다고 무의미한 ‘임시’일까. 아니다. 임시정부는 ‘우리나라’를 되찾는 원동력이었다. 지금의 정체도 임시정부에 뿌리를 둔다. 꼭 짚어야 할 점 한 가지. 남북통일을 염원하는 것은 임시정부가 있기 때문이 아니다. ‘우리나라’가 있었기 때문이다.

건국절이 무에 그리 중요한가. 나라를 두 동강 내는 논쟁. 실사(實事)를 제쳐두고 쓸데없는 논쟁에 매달리니 조선 예송논쟁과 무엇이 다를까. 그런 것은 쓰레기통에나 던져야 하지 않을까.

강호원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
  • 오마이걸 유아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