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심층기획] "규제 줄이고 지원은 늘려 바이오매스 활용도 높이고"

입력 : 2017-08-08 21:21:35 수정 : 2017-08-08 21:21:3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전문가 ‘바이오에너지 활성화’ 한목소리 최근 급속히 발전한 국내 바이오에너지 산업은 새 정부의 탈원전·탈석탄 기조에 탄력받아 향후 더 빠른 확산이 기대된다. 전문가들은 보다 과감한 규제 개선과 정부 지원 확대를 통해 차세대 에너지원인 바이오매스 활용도를 높여가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한국바이오에너지협회 이완성 회장은 8일 바이오매스 시장을 우리가 선도하기 위해 정부 주도의 바이오작물 재배를 통해 원료를 확보하고, 해외 농장 개발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이오작물은 석유자원의 유한성과 대규모 투자를 필요로 하는 유전 개발과 달리 소규모 투자로 무한한 에너지원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국내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경우 기술력보다는 운영 측면의 아쉬움이 지적됐다.

폐자원 에너지화 연구를 담당하고 있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조지혜 박사는 “바이오가스 설비 공정보다는 플랜트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생산된 가스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처음 시설을 설치할 때만 정부가 돕고 운영 시 인센티브나 활용처가 마땅치 않아 고효율로 생산하려는 노력 자체가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조 박사는 “주변 산업단지에 열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액화천연가스(LNG)망에 도시가스로 공급, 전기 판매 등 활용방안을 좀 더 모색해야 한다”며 “약 9900개의 바이오가스 플랜트를 가진 독일의 경우 운영 지원금을 줘 생산을 많이 하도록 지속적으로 유도한다”고 말했다.

바이오가스 플랜트는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소규모 분산형’이고 ‘폐기물 처리시설’이라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 도심보다는 농촌 각 지역에, 대규모보다는 소규모로 자급자족하는 방향이 바람직한 이유다. 이는 대규모로 지어야 하는 원전 등에 비해 진입장벽이 낮아 오히려 확산이 빠를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우리나라의 바이오에너지 제조 및 활용 기술은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67.4%, 폐기물에너지화 기술은 71.6% 수준으로 분석됐다.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를 늘리고, 연계된 다부처 간 협력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에너지업계 한 관계자는 “폐자원 에너지가 전체 신재생에너지 보급량의 75%에 해당할 만큼 수급 기여도가 높은 데 비해 R&D 투자 비중은 4% 전후로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바이오가스를 비롯해 유기성 폐자원은 종류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 담당부서가 다르고, 최근 두 종류 이상의 자원을 병합소화하는 시설도 늘고 있어 부처 간 소통 및 협력을 늘려 추진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지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트리플에스 지우 '매력적인 눈빛'
  • 트리플에스 지우 '매력적인 눈빛'
  • (여자)이이들 미연 '순백의 여신'
  • 전소니 '따뜻한 미소'
  • 천우희 '매력적인 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