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북송 땐 가혹한 보복 … 탈북 일가족 5명 中서 ‘비극적 최후’

입력 : 2017-07-23 18:42:03 수정 : 2017-07-23 22:18:28

인쇄 메일 url 공유 - +

中 공안에 붙잡힌 50대 부부·10대 삼남매 음독자살 10대 미성년자 자녀를 포함한 북송 위기의 탈북민 가족 5명이 중국에서 집단 음독자살이라는 안타까운 최후를 택했다.

23일 북한인권단체 등에 따르면 중국 선양(瀋陽)에서 공안당국에 붙잡혀 북송 위기에 처한 탈북민 일가 5명이 음독자살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노동당 지방 간부와 그 가족인 이들은 북송 시 보복을 우려해 비극적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소장은 이날 세계일보와의 통화에서 “탈북민 일가족이 한국행을 결심하고 제3국으로 가고자 중국 선양에 머물던 중 공안당국의 급습으로 붙잡힌 뒤 음독자살했다”고 밝혔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제3국으로 향하던 탈북민 17명이 15일 중국 공안에 체포됐으며 이들 중 일가족 5명이 자살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자살한 일가족은 북한에서 노동당 지방기관 간부로 일하던 50대 남성과 50대 아내, 10대인 3남매인 것으로 전해졌다. 안 소장은 자녀 3명 모두가 미성년자인지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이들은 공안 조사 후 강제북송 위기에 처하자 비관해 음독자살한 것으로 추정된다. 출발할 때 이미 독약을 소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탈북단체들은 이들이 노동당 지방 간부였던 만큼 북송될 경우 처형 등 가혹한 보복을 받을 것을 우려해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안 소장은 중국 소식통을 인용해 “지난 3월부터 북한과 중국 공안당국이 연합해 탈북민 소탕작전을 벌이고 있으며 이달 말 종료하는 것으로 안다”며 “결산 시점이 다가오니 더 바짝 고삐를 조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도 최근 중국의 탈북민 북송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했다. 방한 중이던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21일 출국 기자회견에서 “중국에서 붙잡힌 북측 주민이 구금되고 강제북송되는 사례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점에 상당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그는 “북송이 임박한 사례도 있다”며 “지난 몇 달간 중국 당국에 우려를 표명해 왔다”고 말했다. 중국 당국에 대한 유엔의 우려 표명도 참사를 막지 못한 셈이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으로 한·중관계가 악화하면서 탈북민 북송이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안 소장도 최근 중국 당국의 탈북민 단속과 북송에 대해 “중국 소식통이 이번 소탕작전이 사드 보복 차원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탈북민 강제 북송은 국제법 위반 소지가 있다. 난민조약 제33조에 송환금지원칙이 명시돼 있다. 중국은 1982년 이 조약에 가입했으나 탈북민을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중국 국내법을 위반한 불법월경자(越境者)로 보고 있다. 중국은 유엔으로부터 여러 차례 탈북민을 강제북송하지 말 것을 촉구받았지만,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한편 북한은 우리의 북한인권개선 목소리를 겨냥해 위협했다. 대남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전날(22일) 논평을 통해 킨타나 보고관이 강경화 외교부 장관 등을 면담한 것을 거론하면서 “(한국의) 현 집권세력이 박근혜 패당처럼 극악한 반(反)공화국 인권소동에 매달린다면 북남관계는 파국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비난했다. 북한은 대화국면을 조성하려는 우리 정부를 압박해 북한인권 문제를 건드리지 말도록 견제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