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국사의 안뜰] 부여의 후예들, 토착민과의 문화 융합 흔적 고스란히

입력 : 2017-06-03 18:00:00 수정 : 2017-06-07 16:29:1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44〉 돌무지무덤에 깃든 고구려 건국 이야기
청나라 광서제는 재위 초기에

세수 확대와 국경 안보 강화를 목적으로

중국 동북지역의

봉금 정책을 해제하고

이 일대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1882년,

화이런현(懷仁縣) 중심부에도

4년간의 공사 끝에 팔괘 형상을 본뜬

팔각팔면의 성벽을 갖춘 현성이

건설되기에 이르렀다.

화이런현에 새로 부임하고

이주한 관원들과 지식인들은

환런진 북쪽의 훈강(渾江)과

남쪽 산줄기 가운데 우뚝 솟아 있는

봉우리의 이름을 지었다.

태극팔괘의 땅을 남과 북에서

수호한다는 의미를 부여하여,

만주어로 ‘산봉우리’를 뜻하는

‘볜스하다(扁石哈達)’라 했다.

왕장러우 돌무지무덤에서 바라본 환런진 중심가

북쪽 지명은 환런진이 강변 지대까지 개발되면서 사라진 반면에 훈강 너머 남쪽의 볜스하다는 ‘환런만족자치현 야허조선족향(雅河朝鮮族鄕) 난볜스하다촌(南邊石哈達村)’이란 행정지명으로 아직도 남아 있다. 또한 남쪽 볜스하다가 있는 곳은 환런진이 한눈에 조망되는 경관을 갖고 있어 나중에 ‘왕장러우(望江樓: 강을 멀리 바라볼 수 있는 곳)’라는 별칭이 붙게 되었다.

1971년 4월 이른 아침, 난볜스하다의 주민들은 마을 뒤쪽 왕장러우에 모여 이곳에 있는 여러 기의 돌무지들을 파기 시작한다. 세상에는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이 일대의 주민들은 예전부터 이 돌무지들을 ‘고려묘(高麗墓)’라고 부르고 있었고, 이 무덤에 고구려왕이 묻혀 있다는 전설이 알려져 왔기 때문이다. 당시 주민들은 돌무지 중심부의 돌들을 들어내기 시작하였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돌무지 속에서 깨진 토기 조각, 철제도끼, 청동장식품, 유리장식, 옥장식, 동병철검(銅柄鐵劍: 손잡이는 청동으로 만들고 칼은 철로 만들어짐) 조각 등이 나왔다.

주민들의 도굴 소식은 ‘고구려 무덤을 파서 각종 금은보화를 얻었다’는 소문으로 과장되어 며칠 만에 주변 마을로 퍼져나갔고, 이러한 소식을 접한 환런자치현 문물국은 번시시(本溪市)박물관과 함께 현장에 급히 몇 사람을 보내어 유적 정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주민들이 파낸 유물 일부를 회수했다.

아이로니컬하게도 수백년간 침묵하고 있던 왕장러우 돌무지무덤은 이 사건을 계기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1973년 번시시박물관은 주민들이 파 놓은 도굴 구덩이를 중심으로 지표 조사를 시작하였고, 1990년에 2차 수습 조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까지 도굴 행위가 갈수록 심해지자 2004년 10월 중순부터 11월 하순까지 구제 발굴 조사가 진행되기도 했다. 


중국 화이련현에 위치한 왕장러우 돌무지무덤은 기원전 1세기쯤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무덤은 부여계 이주집단의 수장층이 환런만족자치현 일대에 건국의 기틀을 마련하고 새로운 정치체를 형성한 뒤 남겨 놓은 유적으로 추정된다.
왕장러우 돌무지무덤은 능선 정선부 부터 구릉 남쪽 사면지에 걸쳐 조성되어 있는데, 가장 높은 곳에 있는 것이 1호이고, 가장 낮은 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6호이다. 왕장러우 돌무지무덤은 환런진 일대가 한눈에 조망되는 높은 지대에 위치하고 있을 뿐 아니라 멀리 환런진 남부에서 환런진으로 진입할 때 반드시 거치게 되는 길목에 위치해 입지가 범상치 않다.

왕장러우 돌무지무덤의 평면은 대체로 타원형인데, 적석부와 석광(石框) 등에서 철검·철화살촉 등의 무기, 철제손칼·철제 낚싯바늘 등 도구, 철제 말재갈·철제 말 재갈 멈치 등의 마구, 황금귀고리, 청동팔지, 옥팔지, 옥고리, 수정, 백석구슬과 옥대롱구슬 등으로 엮은 목걸이, 발형 토기, 대부 발형 토기, 세발 그릇 등 토기가 출토되었다.

왕장러우 돌무지무덤은 돌무지를 쌓는 방식이 고구려 건국 후와 전성기에 쌓은 기단식이나 계단식 돌무지무덤과는 달리, 자연 지형에 따라 낮은 곳에는 강돌을 중심으로 하여 일부 산돌을 섞어 조금 높게 쌓고 경사면 위쪽에는 구획석 안에 한두 벌가량 돌을 쌓아 놓기만 했다. 규모 또한 가장 큰 4호가 길이 13.2m, 너비 12.5m, 최대높이 1.6m에 지나지 않는다.


오강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더욱이 일반적인 고구려 돌무지무덤들의 매장주체부가 지상 위 돌무지 속 또는 돌무지 가운데서도 상부에 시설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왕장러우 돌무지무덤은 1호와 4호의 경우 지하 암반을 굴착한 반지하식 구조로 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다소 늦은 시기에 조성된 2호와 6호는 과거 지표를 그대로 석광의 바닥 높이로 처리하여 놓았다.

고구려 돌무지무덤의 기본적인 속성은 돌무지와 돌무지 속의 매장주체부인데, 시간이 흐를수록 돌무지의 규모가 점차 넓어짐과 동시에 높아지고 매장주체부의 위치가 점차 위로 올라가게 되면서, 매장주체부의 형식 또한 초기의 석곽에서 석실로 바뀌어간다.

왕장러우 돌무지무덤은 이와 같은 구조적 속성 외에 출토 유물에서도 일반적인 고구려 초기의 돌무지무덤보다 이른 시간성을 뚜렷하게 보이는데, 대표적으로 들 수 있는 것이 바로 1971년 4월 주민들의 도굴과 관계기관에서 유물을 회수하는 과정에 망실된 동병철검과 이후의 조사 과정에서 출토된 황금제 귀고리와 청동 팔지와 팔뚝 장식이다.

왕장러우 돌무지무덤의 동병철검은 청동으로 제작된 손잡이 머리부에 기다란 대가 있고 그 대에 안에 방울이 들어있는 주산알 모양의 장식이 장착되어 있는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다. 황금 귀고리는 한쪽 끝에 타원형의 넓은 술 모양의 금편 장식이 있고 그 위의 금사가 꼬여 있는데, 청동 팔뚝 장식을 포함하여 이 유물들 모두 시펑현(西豊縣) 시차거우(서차구) 고분군과 위수현(楡樹縣) 라오허선(노하심) 고분군 등 부여 관련 고분군에 중요 유물로 함께 묻혀 있다. 이와 같은 특이한 구조와 출토 유물의 시간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학계에서는 왕장러우 1호와 4호 돌무지무덤을 고구려 초기에 축조된 일반적인 기단식 돌무지무덤보다 이른 단계의 돌무지무덤으로 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원전 1세기 전엽, 늦어도 기원전 1세기 중엽에는 고분군의 조성이 완료된 것으로 본다.

고구려의 스무번 째 왕이자 광개토대왕의 아들인 장수왕은 지금으로부터 1600여년 전 부왕의 업적을 기리며 국내성 동북쪽의 언덕 자락에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새겨 놓은 거대한 선돌 모양의 기념비를 세웠다. 이 기념비에 새겨놓은 비문의 첫머리에 고구려를 개국한 추모왕(鄒牟王)의 개국 내력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이와 비슷한 내력은 ‘삼국사기’ 등 여러 곳에도 기록되어 있다.

관련 기록들을 종합하면, 고구려를 세운 추모왕이 원래 북부여 출신이었는데, 부여 왕실의 질시를 받자 이를 피해 부여의 엄리대수(奄利大水)를 건넌 다음, 비류(沸流) 골짜기에 있는 지금의 환런만족자치현에 이르러 고구려를 세웠다는 것이다. 또한 고구려를 처음 세울 당시 이곳에 먼저 세력을 이루고 있던 송양왕(松讓王) 등과의 갈등을 현명한 방식으로 잘 해결한 것으로 되어 있다. 
시차거우 고분군과 라오허션 고분군 출토 동병철검.

왕장러우 돌무지무덤은 환런만족자치현의 중심부이자 가장 평탄한 곳인 환런진이 아니라 훈강을 사이로 하여 마주하고 있으면서 이 일대를 모두 조망할 수 있는 높은 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무덤은 왕장러우 돌무지무덤보다 조금 앞서 발생한 이 일대의 반지하 석광의 무기단식 돌무지무덤이 채용되어 있으면서 부여계 황금귀고리와 동병철검 및 장신구류 등이 다량 부장되어 있다. 이러한 유적 유물 양상을 광개토대왕릉비문 등의 고구려 건국 내력과 비교하여 볼 때, 왕장러우 돌무지무덤은 동병철검으로 무장하고 부여계 황금 귀고리로 치장한 추모왕으로 상징되는 부여계 이주 집단의 수장층이 이제 막 환런만족자치현 일대에 건국의 기틀을 마련하고 새로운 정치체를 형성한 뒤에 남겨 놓은 유적으로 생각된다.

부여의 토광묘가 아닌 이 일대의 토착 묘제인 돌무지무덤을 자신들의 무덤으로 채용한 것에서 선주 집단과의 현명한 융합 과정이, 동병철검·황금귀고리·유리제품·다량의 철기 부장에서 토착 집단을 압도하는 기술적 우위가, 환런진 평지를 감시하는 듯한 방어적 위치에 고분군을 조성한 데에 이주 집단과 토착 집단 간의 미묘한 갈등과 긴장이 찾아지는 것을 우연이라고만은 할 수 없을 것이다.

오강원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
  • 블랙핑크 로제 '여신의 볼하트'
  • 루셈블 현진 '강렬한 카리스마'
  • 박은빈 '반가운 손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