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헌 특조위 부위원장 등 여당 추천위원 5명 전원이 불참한 데다 앞서 국회 국정감사나 감사원 조사 등에서 나온 쟁점이 되풀이된 ‘반쪽·맹탕 청문회’가 됐다는 지적이다. 청문회 도중 자해 소동이 벌어져 정회되기도 했다.
![]() |
14일 서울 중구 명동 YWCA 빌딩에서 열린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제1차 청문회’에서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들이 참사 당시 영상물을 시청하면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이제원 기자 |
![]() |
14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서울 YWCA에서 열린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제1차 청문회'에서 증인들이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이제원기자 |
![]() |
14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서울 YWCA에서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제1차 청문회'가 열리고 있다. 이제원기자 |
일부 유가족은 참사 당시 영상과 생존자들의 증언에 가슴을 치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세월호 참사로 아들을 잃은 정부자씨는 “애당초 이번 청문회를 통해 뭔가 새로운 게, 진실이 밝혀질 거란 기대조차 하지 않았다”며 “억울하다. 정말 억울하다”고 흐느꼈다.


김씨는 지난 3월에도 제주시 조천읍에 위치한 자신의 자택에서 손목을 그어 자살을 기도하는 등 참사 이후 정신적 트라우마에 시달려온 것으로 알려졌다.
![]() |
4·16 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의 1차 공개 청문회가 열린 14일 서울 명동 YWCA 대강당앞에서 세월호참사 유가족들이 피켓을 들고 호소하고 있다. 이제원기자 |

장외 공방전도 치열했다. 4·16연대 등 세월호 특조위 청문회를 지지하는 단체들은 YWCA 회관 앞에서 집회를 열고 “세월호 청문회를 통해 진실을 밝혀야 한다”며 촉구했다. 반면 대한민국 고엽제 전우회원 50여명은 “국민의 공감을 받지 못하는 세월호 특조위 청문회를 해체하라”며 반대 집회를 열었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