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뉴스인사이드] 국내 전통문화시장 현황…전체 문화산업 30% 차지

입력 : 2015-10-02 19:29:18 수정 : 2015-10-02 19:29:1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기업 76%가 소규모 개인사업
“기념품 인식… 소비 자극 한계
부가가치 높일 정부 지원 필요”
우리 전통문화산업은 시장 규모에 비해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실정이다. 기업체 운영 또한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2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전통문화산업 시장은 공예, 의류, 식품, 건축에 걸쳐 2010년 기준 약 25조원 규모로 집계된다. 전체 문화산업 규모가 88조원 정도임을 고려하면 30% 가까이 차지하는 셈이다. 전통문화산업에 종사하는 이는 28만5000여명, 업체는 약 3만개에 달한다.

시장 규모에 비해 관련 기업들은 여전히 가내 수공업에 머물고 있다. 전체 기업의 75.8%가 종업원 10명 남짓의 소규모 개인 사업체이다. 1인당 매출 규모는 8800만원에 그쳐 6억5000만원을 자랑하는 일본 전통공예 산업체와 크게 대조된다. 더불어 우리 기업은 80% 이상이 1980년 이후 설립돼 전통을 이었다고 하기보다 흉내 내는 수준이라는 지적도 받는다.

미래부 관계자는 “전통문화 제품은 시장에서 생활용품이라기보다 예술품 또는 기념품으로 인식돼 소비심리를 자극하거나 대중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실제 구매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전체 평균에 비해 실용·편리성,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 지원은 기존 산업을 활용한 사업화에 집중됐지만, 생산·제작단계에서 품질을 크게 높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는 미흡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관련 기업의 경쟁력이 뒤따르지 못한 탓이다.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긴요한 수단인 국가 연구·개발(R&D)도 문화재 관리와 보존, 전통의료와 보건을 중심으로 지원돼 파급효과가 작았다. 따라서 전통문화산업도 현대 과학기술과의 융·복합 연구, 소재·공정분야를 중심으로 R&D가 활성화돼야 한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업계 자체로는 R&D 역량이 부족한 만큼 정부 지원도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황계식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