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수상 5∼10년 전 울프상 등 다른 과학상 받아
국내 수상자 ‘0’… 노벨 심포지엄 참가한 필립 김 희망

1901∼2011년 노벨과학상 수상 연구주제 및 추세 등을 분석한 한국연구재단은 28일 우리나라의 노벨과학상 수상은 15∼20년 후에나 기대할 수 있다는 내용의 조사 결과를 내놨다. 적어도 10년 안에 우리나라에서는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나오기 어렵다는 것이다.
연구재단에 따르면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은 대부분 노벨상을 받기 5∼10년 전 관련 분야에서 권위있는 다른 과학상을 받았다. 매년 물리·화학·의학 등 6개 분야에 걸쳐 시상하는 이스라엘 울프상과 기초·임상 등 의학 연구에 공헌한 사람에게 주는 미국의 래스커상이 대표적이다.
1978년 제정된 울프상 과학분야 수상자 132명을 분석한 결과 30%인 39명은 평균 5년 후 노벨상을 받았다. 래스커상(1946년 제정)을 받은 287명 가운데 27.8%인 80명도 평균 5년 후 노벨상을 수상했다. 2004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아브람 헤르시코의 경우 2000년 래스커상, 2001년 울프상을 각각 받았다.
톰슨·로이터사가 논문 인용빈도 상위 0.1% 이내인 우수 논문 저술자에게 주는 ‘톰슨·로이터 인용상’ 수상자와 노벨 재단 주최의 ‘노벨 심포지엄’에 참가하는 과학자들도 10년 이내 노벨상을 받을 가능성이 높았다.
2010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로저 첸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의 경우 2001년, 2005년 노벨심포지엄에 참가하고 2008년 톰슨·로이터 인용상을 받았다. 또 1999∼2011년 13회의 노벨상 가운데 9회가 노벨 심포지엄 참가자 중에서 나왔다.
이처럼 이들 상을 받거나 노벨 심포지엄에 참가한 과학자가 이후 노벨상을 받은 확률은 무려 90%에 달했다. 또 톰슨·로이터 인용상과 노벨 심포지엄에서 집중 조명된 연구 주제는 대부분 수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내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울프상, 래스커상 등을 받은 한국 과학자는 단 한명도 없다. 다만 ‘꿈의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 연구의 권위자 필립 김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등 2명이 2010년 노벨 심포지엄에 참가한 게 희망이라면 희망이다.
연구재단은 이 같은 정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0년 내에 한국 과학자의 노벨과학상 수상 가능성을 매우 희박한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고려대 전승준 교수는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하려면 정부가 먼 미래를 바라보고 다양한 분야에 지원해야 한다”면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환경과 단기적 실패를 용인해주는 연구지원 시스템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