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커피의 실존주의 시대 [박영순의 커피 언어]

입력 : 2022-02-19 14:00:00 수정 : 2022-02-19 10:38:3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커피의 주 기능을 각성이라고 본다면, 그 본질은 우리의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카페인이다. 에스프레소가 추출되는 진한 커피액은 본능적으로 카페인을 떠오르게 한다. 커피비평가협회(CCA) 제공

커피에 관한 은유가 하나 추가됐다.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자극제’라는 표현인데, 베이징동계올림픽에 출전한 호주대표팀에서 나왔다. 호주는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전문 바리스타를 선수단에 포함시켰다. 경기 당일 최고 품질의 커피를 통해 선수들에게 카페인을 공급함으로써 경기력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스키선수인 필 벨링햄은 “커피는 경기력을 높이는 자극제로서 우리에게 승리를 안겨줄 것”이라고 반겼다. 이 말이 외신을 타고 퍼지면서 지구촌 곳곳의 바리스타들은 설레고 있다. 수많은 스포츠 종목에 팀닥터처럼 바리스타들이 배치되는 모습을 꿈꾸는 것이다.

마법과 같은 커피 효능에 대한 은유는 기원전 10세기쯤 솔로몬왕과 시바 여왕의 사랑이야기에서 시작됐다. 구약성서 ‘열왕기 상’에 시바 여왕이 예루살렘으로 솔로몬을 찾아간 대목이 나온다. 구전에 따르면 여왕이 커피 향기로 솔로몬을 침실로 유혹해 아들을 낳고, 그 아들이 에티오피아의 초대 국왕이 된다. 이런 탓에 커피는 ‘인류 최초의 최음제’로 비유됐다. ‘아프로디지액스’란 표기는 그리스신화의 아프로디테에서 따왔다. 제우스의 아버지인 크로노스가 우라노스의 남근을 잘라 바다에 버렸는데, 정액이 바닷물과 섞이면서 생긴 거품 속에서 아프로디테가 탄생했다. 기이한 사연으로 그녀의 이름은 최음제를 뜻하게 됐다.

호메로스가 기원전 700년쯤에 쓴 오디세이에서 커피는 ‘네펜테’로 등장한다. 이탈리아의 언어학자 피에트르 델라 발레는 1650년 출간한 ‘중동여행기’에서 “트로이에서 살아 돌아온 헬레나를 축하하는 잔치에 포도주와 함께 제공된 네펜테는 커피였다”면서 “네펜테가 근심과 두려움을 잊게 했다”고 묘사했다. 이 시기 커피는 ‘마법의 묘약’이다.

이후 에티오피아에서 커피는 ‘신이 내린 선물’로 위상을 높인다. 오로모족은 지금도 커피 의식을 치른다. 그들은 커피나무가 신의 눈물에서 생겨났다고 믿고 주술사의 무덤에 커피나무를 심는다. 에너지를 넘치게 하는 커피의 신통함이 신과 인간을 연결해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신화의 시대를 벗어나 커피가 기록으로 나타난 것은 기원후 900년쯤 페르시아이다. 의학자 라제스가 커피를 위장병 치료제로 처방했는데, 이후 11세기 이븐 시나를 거쳐 16세기 독일 의사 라우볼프에 이르기까지 커피는 ‘위장약’처럼 직유된다. 오스만튀르크의 시대를 거치면서 커피가 대중화하자 서서히 문학적인 은유가 등장했다. 터키와 헝가리 속담에 커피를 ‘악마의 키스’에 비유하며, 거부할 수 없는 커피의 유혹에 역설적인 찬사를 보냈다. 18세기 탈레랑은 “커피의 본능은 유혹이다”는 말로 커피 은유에 정점을 찍었다.

매혹적이며 신비스러운 커피의 면모는 1820년대 괴테에 의해 베일을 벗는다. 색상환을 만들 정도로 색에 심취했던 괴테는 검은색 액체 속에서 인간을 유혹하는 물질이 있음을 직관하고 화학자 룽게를 통해 카페인을 발견했다. 과학혁명의 시대를 거치며 커피의 위력이 비롯되는 물질이 입증되자 문학적 상상력은 커피의 향미로 옮겨가고, 커피 자체는 일상을 일깨우는 삶의 도구가 됐다. 21세기에 커피는 올림픽에서 금메달의 숫자를 늘리게 하는 구체적인 수단으로 우리에게 깊숙하게 들어왔다. 바야흐로 ‘커피의 실존주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박영순 커피인문학 칼럼니스트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