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영미칼럼] 디지털전환시대, 공공서비스의 변화는

관련이슈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2-02-14 00:16:15 수정 : 2022-02-14 00:16:1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코로나 후 ‘디지털 경쟁력' 중요
정부, 공공데이터 개방 적극 추진
기관의 정보 공유로 효율적 대응
생활밀착형 정보 계속 발굴해야

디지털 기술은 새로운 사업의 확장과 신규 일자리 발굴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기대감이 크다. 지능정보 신기술의 발달은 플랫폼 영향력의 급증과 함께 관련 기업들의 비중 또한 대폭 확대시키고 있다. 플랫폼의 부상과 함께 자연스럽게 주목받는 부분이 데이터 경제다. 데이터의 역할이 단순한 비즈니스 기능 지원에서 벗어나 공급자와 고객 간 새로운 인터페이스로 전환되고 그 자체로 상품이 되는 상황이다. 데이터의 활용이 모든 산업의 발달과 새로운 가치 창출에 촉매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데이터 경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 정부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기침체의 극복과 새로운 성장 기회의 발판을 디지털과 데이터에서 찾고 있다. 데이터의 생성, 수집, 저장, 처리, 분배, 전달의 단계별 데이터 경제를 촉진하여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 디지털 뉴딜의 핵심 내용이기도 하다.

김영미 상명대 교수·행정학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은 2013년부터 공공데이터법 시행과 더불어 추진되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공공데이터 개방평가 2회 연속 1위를 달성하는 등 각종 지표에서 공공데이터 개방 선진국을 빠르게 능가하고 있다. 이처럼 데이터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함에 따라 우리 정부도 공공데이터의 민간 개방을 통한 경제 활성화 및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하여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이용자의 범위가 전문가와 기업, 정부 관계자는 물론 학생과 일반 시민에까지 확대됨에 따라 공공데이터포털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데이터 저장소(data repository)의 역할에서 나아가 시민의 참여를 통한 데이터 활용도를 높이고자 이용자 중심의 접근을 유도하고 있다. 사회적 흐름에 부응하기 위한 공공데이터포털은 시민 참여의 활성화와 더불어 공공서비스를 개선하고 창안하는 데에도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럼에도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의 걸림돌로 지적되는 부분은 여전히 남아 있어 국민 중심의 생활밀착형 데이터를 보다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개방해야 한다.

데이터가 중심이 되는 경제 기반의 변화와 지능정보 기술의 진화는 공공서비스의 개선을 촉진한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IT 신기술과 역동적인 시장의 요구에 힘입어 변화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새로이 구축된 정보시스템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도 전에 낡은 시스템으로 밀리는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고객 관점을 최적화하기 위한 대민 서비스 및 행정업무의 즉각적인 대응 또한 점차 어려운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신속한 대응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변화하는 환경에 효율적 대응과 서비스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기관의 정보 공유가 우선되어야 한다.

민간 영역의 서비스는 융복합 방식을 접목하여 편리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고객 관점에서 유관 서비스를 한 번에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공공 분야도 제공하고 있는 정보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과 이용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된다. 민간에서 보유하기 어려운 정보와 활용 가치가 높은 공공 정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채널로 개방하고 누구나 이용하여 가치 창출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공공 영역의 데이터는 물론 일상 영역에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가 모일 때 그 축적의 힘은 진가를 발휘할 것이다. 데이터의 자산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이를 활용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생태계를 확보해 나가는 것이 중요해졌다.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는가가 미래 사회의 경쟁력이기도 하다. 국가 차원의 혁신 관점에서도 데이터 활용도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고객만족도의 효용성을 높이고 맞춤형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한 데이터의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우리가 인프라와 하드웨어 측면에서 세계적인 IT 강국이라 평가받고 있는 만큼 데이터 분야도 지속적인 개방과 활용을 토대로 서비스와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김영미 상명대 교수·행정학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