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헝다 ‘디폴트’ 초읽기… 중국 정부, 시장 영향 최소화 나서

입력 : 2021-12-05 19:04:58 수정 : 2021-12-05 19:50:0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3000억 상환 어려워” 기습 공시
당국, “경제에 영향 없다” 메시지
헝다 회장 불러들여 ‘군기잡기’도
상하이 헝다 사옥 근처에서 중국 국기 오성홍기가 펄럭이는 모습. AFP연합뉴스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중국 2위 부동산 개벌업체 헝다(에버그란데)가 결국 채무불이행(디폴트) 선언을 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당국도 헝다 파산에 따른 시장 불안을 낮추기 위해 이례적으로 잇달아 성명을 내놨다.

5일 차이롄서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헝다는 지난 3일 밤 홍콩 증권거래소에 ‘2억6000만달러(약 3075억원)의 채무상환 의무를 이행하라는 통보를 받았지만 유동성 위기 때문에 이를 상환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는 내용의 공시를 했다. 헝다가 하나의 달러 채권 원리금을 제대로 갚지 못하면 192억3600만달러(약 22조7000억원) 규모에 달하는 전체 달러 채권 연쇄 디폴트로 이어질 수 있다.

중국 관련 당국은 헝다가 공식 디폴트를 하게 되더라도 중국 경제 시스템에는 문제가 없다는 메시지를 잇달아 발표하고 있다. 헝다 파산이 ‘중국판 리먼브러더스 사태’로 비화할지 모른다는 우려를 잠재우려는 것이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헝다 파산이 중국 경제의 하방 압력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 광둥성 정부는 헝다 쉬자인 회장을 ‘웨탄’(約談)의 형식으로 불러들였다. 웨탄이란 정부 기관이 하급 관공서나 기업 등을 공개적으로 불러 질타하고 시정을 촉구하는 일종의 ‘군기잡기’다.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은행감독관리위원회, 증권감독관리위원회도 잇달아 ‘개별 기업’ 문제로 치부하며 시장 영향 최소화에 나섰다.

2조위안(약 371조원) 이상의 부채를 짊어진 헝다는 작년부터 본격화한 당국의 부동산 억제 정책 영향으로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


베이징=이귀전 특파원 frei5922@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